풀도 꽃도 걸음을 서두르는데

사람 손은 저만치 뒤에 있다.

지나간 겨울 꽃밭의 낙엽들을 긁어내며 봄을 보낸다.

 

생강나무 피고 산수유 피고 매화 피고,

다음으로 진달래 피어나고 개나리 오고 목련 피고 벚꽃 터뜨릴 터인데,

달포 안에 차례로 필 꽃들이 한 주 안에 우르르 다 피어올랐다.

기후위기는 그렇게 또 우리 앞에 상황을 펼친다.

생태학적 문제는 거기 의존하며 사는 존재들의 어려움을 부른다.

꽃에 의존하는 곤충들이 어렵고,

그 곤충을 먹고 새는 새의 삶이 어렵고,

몇 년 전부터 꿀벌들의 삶이 표나게 그러했다.

꿀벌이나 새가 없으면 자연수분이 어렵고, 그러면 나무가 열매를 맺기 어렵고...

닥친 위기라지만

차례로 피어도 좋고 같이 다 피어도 좋은, 보는 눈 즐겁기는 매한가지.

(아직까지는) 잊지 않고 피어나서 고맙다!

그것은 있지 않고 피어나도록이나마 도와보겠다는 의지의 문장이기도 할 거라.

 

왜들 뭘 잘하려 하는 걸까요?”

청년이 물었다.

잘하는 게 좋으니까.”

왜 좋은 걸까요? 잘난 체 좀 하려는 거 아닐가요? 왜들 그렇게 잘난 체를 못해서 안달일까요?”

그런 욕망이 없지도 않겠지.

그것만이 다가 아닐 것.

무언가를 잘한다는 건 오래 익혔다는 말.

익어서 그걸 해도 편하다는 말.

그리하여 하는 나도 편코 보는 너도 편코.

결국 자연스럽다는 것.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도 소리를 하는 것도 춤을 추는 것도 다, 다 그런 일일 테다.

잘 해야겠다는(기능도 삶도) 생각이 간절해지는 밤. 

 

내일은 해남 달마고도 둘레길을 걷는 일정을 앞두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314 12월 9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4-12-10 1608
6313 4월 12일-23일, 열 이틀의 행진 옥영경 2004-05-08 1608
6312 3월 28일 달날 거치나 차지 않은 바람 옥영경 2005-04-02 1607
6311 2009. 1.25.해날. 내리고 또 내리는 눈 / 설 옥영경 2009-02-05 1606
6310 11월 17-9일, 건축학과 양상현샘 옥영경 2004-11-24 1606
6309 108 계자 아흐레째, 2006.1.10.불날. 맑음 옥영경 2006-01-11 1605
6308 6월 19일, 논두렁 김성숙님 다녀가시다 옥영경 2004-07-04 1605
6307 2007.10.24.물날. 맑음 옥영경 2007-10-29 1604
6306 109 계자 사흗날, 2006.1.22.해날. 맑음 옥영경 2006-01-23 1604
6305 2월 27일 해날 맑음, 포도농사 첫 삽 옥영경 2005-03-03 1604
6304 7월 14일, 그 놈의 비 땜에 옥영경 2004-07-20 1603
6303 123 계자 나흗날, 2008. 1. 9.물날. 맑음 옥영경 2008-01-15 1602
6302 2007.11.11.해날. 맑음 / 낚시 옥영경 2007-11-19 1601
6301 2월 5일 흙날 맑음, 102 계자 닫는 날 옥영경 2005-02-10 1601
6300 110 계자 닫는 날, 2006.5.14.해날. 갬 옥영경 2006-05-17 1600
6299 9월 3일 쇠날, < 벌레, 너는 죽었다! > 옥영경 2004-09-16 1600
6298 6월 12-13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06-19 1600
6297 6월 16일, '자기 연구' 옥영경 2004-07-03 1599
6296 7월 11일, 성학이 나들이 옥영경 2004-07-20 1598
6295 5월 21일 쇠날, <오늘의 한국> 취재 옥영경 2004-05-26 15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