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30.쇠날. 비

조회 수 512 추천 수 0 2023.07.31 14:14:25


비교적 온건한 채식주의자라고 해야 하나.

고기를 먹지 않지만, 해산물을 좋아한다.

새우를 잘 먹는다

굳이 애써서 찾아 먹지는 않아도,

골라야 할 상황이면 새우를 고른다.

, 그 새우 이제 먹기 어렵겠다.

좋아하는 아보카도를 가능한 안 먹겠다고 선언하고 10,

단일 재배 작물인 아보카도는 토양에 영양분이 적고 질병에 취약하니

더 많은 살충제와 비료를 쓰게 되고 결국 땅을 황폐화시키는 걸 알게 된 뒤였다.

새우만 해도, , 그 눈을 없애고 있었다니!

내가 모르는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을 것이냐.

사람 사는 게 무에 이러냐!

 

국제동물보호단체 페타(PETA)의 보고서를 들었다.

양식장에 갇힌 암컷 새우는 기괴한 방식으로 눈이 잘린다.

칼날로 한쪽 또는 양쪽 눈을 절단하거나

눈자루 주위에 철사를 묶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게 한다.

눈자루는 갑각류의 머리 부분에 돌출하여

끝 쪽에서 겹눈을 달고 있는 막대 모양의 시각 신경 다발.

새우 눈 뒤에는 번식과 관련된 분비선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알을 낳지 않도록 하는 번식 억제 호르몬이 나온다고.

비좁은 공장식 양식장은 새우조차 번식을 꺼리는 거다.

암컷 새우의 눈을 잘라내고 번식 조절기능을 앗기 위해, 더 많은 새우를 위해,

새우 양식으로 유명한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만이 아니라

호주 중남미에서도 이것이 관행이라고.

눈이 잘린 암컷 새우가 낳은 새우들은 질병에 더 취약하고,

눈을 잃은 새우는

번식 조절 능력과 시각뿐 아니라 세계를 받아들이는 다양한 감각까지 한꺼번에 잃고.

눈이 잘린 새우가 방향 감각을 잃고, 절단 부위를 분지르는 등

고통을 느끼는 행동을 보이는 것을 관찰했다는 보고(멕시코 국립과학기술교육원)도 있었다.

양식장을 짓기 위해 숲을 파괴하고,

새우의 사료를 대기 위해 저인망 어업도 횡행하고,

새우 양식 산업으로 토지 부족, 식수오염, 인신매매나 노동 착취와 같은 사회적 문제까지 발생.

그래서?

새우 소비량을 줄여야,

당장은 새우 눈을 자르는 것부터 중단해야!

적어도 새우가 고통 속에 살다 죽는 것은 막고 싶다.

이런 끝에는 늘 무엇을 먹어야 하나,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나로 이어지는 질문들 앞에 선다...

 

 

비 덕에 쉬엄쉬엄 학교 일,

교무실에서 메일 몇 답을 하고,

7월 일정을 점검하다.

안에서는 끊임없이 풀을 잡고 또 잡을 테고.

대개는 계자를 준비하는 시간이 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74 2019.12. 9.달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491
1273 2023.10. 1.해날. 맑음 옥영경 2023-10-17 489
1272 2023.11. 6.달날. 비바람 옥영경 2023-11-19 488
1271 2023. 4. 4.불날. 흐리다 저녁비 / 말뚝 박기 옥영경 2023-05-03 488
1270 2023.10.20.쇠날. 갬 옥영경 2023-10-30 487
1269 2023. 9. 5.불날. 맑음 옥영경 2023-09-19 487
1268 2020. 3.16.달날. 맑음 옥영경 2020-04-13 487
1267 2019.11.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9-12-31 487
1266 2022학년도 여름, 170계자(8.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2-08-24 486
1265 2022. 4. 7.나무날. 흐리다 맑음 / 설악산 아래·7 옥영경 2022-05-05 486
1264 2021.12. 8.물날. 맑음 / 겨울 계자 신청 문열다 옥영경 2021-12-31 486
1263 2021. 1.26.불날. 비 옥영경 2021-02-12 486
1262 2020. 3. 8.해날. 맑음 옥영경 2020-04-12 486
1261 2024. 3.15.쇠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485
1260 2023.11.11.흙날. 흐림 옥영경 2023-11-19 485
1259 2023. 9.20.물날. 비 옥영경 2023-10-01 485
1258 2022. 4. 9.흙날. 맑음 옥영경 2022-05-05 485
1257 2022. 1.21.쇠날. 맑음 옥영경 2022-01-30 485
1256 2021. 3. 7.해날. 흐린 하늘에 아주 가끔 해 옥영경 2021-03-26 485
1255 2020. 5. 9.흙날. 종일 오락가락하며 추적이는 비 옥영경 2020-08-07 48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