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8.27-30.해-나무날

조회 수 1220 추천 수 0 2006.09.14 09:36:00
2006.8.27-30.해-나무날


가끔은 건물도 사람을 비워야 한다 싶지요.
그도 가끔 쉬고 싶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나름대로 사람을 맞고 들이는 준비를 위한 시간이 있어얄 것 같습니다.
학교를 그렇게 한 차례씩 비우지요.
덕분에 사람도 쉬어줍니다.
뜨겁기도 뜨거웠던 세 차례의 계자와 한 차례의 전수가 끝나고
비로소 학교가 조용합니다.
공동체식구들도 쉬었지요.
젊은 할아버지는 포도밭을 지키고
아이가 태어난 뒤 서울을 오르내렸던 상범샘은
이번참에는 학교 지킴이가 되어 열택샘이 비운 농사부 자리를 맡았습니다.
승찬이랑 큰엄마는 인천 본가 나들이를 가고
하다랑 저는 대포항에 들렀다 설악산으로 갔지요.
대청봉을 가자 모였던 이들이 열 시간의 산오름을 준비하던 새벽,
계자 후유증이 그 먼 곳까지 따라와 이불에 그만 푹 쓰러져서는
결국 일행들과 달리 흔들바위 지나 울산바위만 올랐지요.
산 타는 사람들이야 울산바위 쪽으로 길을 잡는 일이 잘 없으니
언제 또 걸루 가나 하고 되려 즐거이 다녀왔지요.
대청봉이야 어디 가는 것 아니니
나중에 오르지 하며.
“월악산 정상도 이렇게 바위산이에요.”
산깨나 오른 류옥하다는 울산바위 지킴이 아저씨랑 어찌나 수다를 떨던지요.
아, 설악산 아래는
1994년 여름 첫 계자를 열었던 곳이고,
대포항은 계자 전 답사를 왔던 이들이 같이 찾았던 곳이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14 5월 물꼬stay 이튿날, 2019. 5.18.흙날. 비 옥영경 2019-07-19 605
5013 2019. 9.27.쇠날. 해 나왔다 오후 사라진 / 두 발의 총성 옥영경 2019-10-31 605
5012 168계자 여는 날, 2021. 8. 8.해날. 소나기, 풍문처럼 지나다 [1] 옥영경 2021-08-13 605
5011 2019. 7.29.달날. 맑음 / 삼남매의 계곡 옥영경 2019-08-22 606
5010 2020. 2. 4.불날. 갬 옥영경 2020-03-05 607
5009 2023.11.12.해날. 볕 거둔 오후 옥영경 2023-11-19 608
5008 2019. 9.20.쇠날. 흐려가는 오후 / 굴착기 옥영경 2019-10-30 611
5007 2019. 7. 3.물날. 맑되 잠깐 구름 / <사람은 사람으로 사람이 된다>(나쓰카리 이쿠코/공명) 옥영경 2019-08-14 612
5006 5월 빈들 이튿날, 2019. 5.25.흙날. 다소 흐림 / 느티나무와 홍단풍 모시다 옥영경 2019-07-24 613
5005 171계자 사흗날, 2023. 1.10.불날. 흐림 옥영경 2023-01-12 613
5004 2019.11. 9.흙날. 오후 흐림 / 바짓단 옥영경 2019-12-30 614
5003 2019. 7. 4.나무날. 맑음, 날씨 좀 보라지! / 제도학교의 물꼬 나들이 옥영경 2019-08-14 617
5002 2022. 1.26.물날. 맑음 / 교육재정을 들여다보다; 풍요는 낭비가 아니다! 옥영경 2022-01-31 617
5001 2022. 8. 6.흙날. 맑음 / 170계자 샘들 미리모임 옥영경 2022-08-08 617
5000 2019. 6.29.흙날. 비 / 칼국수를 노래함 옥영경 2019-08-14 618
4999 2019.10.21.달날. 맑음 / 오늘은 오늘치의 삶을 살아냈고 옥영경 2019-12-05 619
4998 2024. 2.11.해날 ~ 3. 4.달날 /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24-02-13 619
4997 5월 빈들 여는 날, 2019. 5.24.쇠날. 맑음, 31도였다나 / 열두 마리 버들치! 옥영경 2019-07-24 620
4996 2019. 6.28.쇠날. 저녁 비 / 원석연과 이생진 옥영경 2019-08-14 621
4995 2022 여름 멧골 책방② (8.27~28) 갈무리글 옥영경 2022-09-08 62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