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25.해날. 맑음

조회 수 1230 추천 수 0 2007.04.09 00:07:00

2007. 3.25.해날. 맑음


국선도 청년회모임에서 농활을 온다 했더랬습니다.
학교 큰마당 가장자리에 종균을 넣은 뒤 한 해 동안 쌓여있던 표고목을
오늘 지어놓은 표고장하우스로 옮기겠다 별렀지요.
폐가 될까 도시락까지 싸들고 온다던 그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편에서 일이 생겨버렸네요.
다른 날을 기약합니다.

아이들이야 주중이고 주말이고가 없습니다.
학교는 늘 놀이터이지요.
“뭐하는 거야?”
종훈이가 홀로 배움방에서 크레파스를 늘여놓고
커다란 도화지 앞에 있었습니다.
"하다형이 하라 그랬어요."
못다 그렸던 속틀을 마저 그리고 있었던 겁니다.
아이들이 사는 이야기를 들여다보는 것 만한 즐거움이 또 어디 있을라구요.

저녁 7시, 경건의 시간이자 깊은 명상의 시간인 ‘호숫가나무’가 있었고
이어서 마을식구가 다 모이는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따스한 노래들을 부르고
그간의 생활을 돌아보며 ‘거울보기’도 하고
‘감사와 불평의 시간’(아직 이름을 붙이지 못했지만)도 있었네요.
불평의 시간은 짜증이나 화를 발산하는 자리가 아니라
내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내 생각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한편, 네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하고 타인의 생각을 보는 시간이지요.
그런데 그렇게 바라보는데 시간이 걸릴 테지요.
째째하고 쪼잔하고 쫀쫀한 서로를 확인하는 게 아니라
깊은 성찰을 자아내는 시간이기를 기대합니다.
“이 공간에 감사해요. 단지 두 명을 위해 샘들이 애쓰는 것 보면 참 고마워요.
어떻게 이런 걸 누릴 수 있을까, 이런 곳이 만들어지기까지 애쓰셨을 시간이 고맙고...”
감사는 또 감사를 낳지요.
호숫가 나무에서 왜 백배서원 절을 해야 하는지 아직 모르겠다는 이도 있는 반면
넘쳐나는 감사함을 전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 편차들이 심하나 이런 시작이 즐겁습니다.
우리는 영적훈련을 통해 잘 성장할 테니까요.
다가오는 학교 세 돌잔치를 어찌 할까 의논도 하였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34 2007.10.16.불날. 맑음 옥영경 2007-10-26 1287
1233 2008. 7.17.나무날. 더위 옥영경 2008-07-27 1287
1232 2008.10. 1. 물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87
1231 10월 10일, 가을소풍 옥영경 2004-10-14 1288
1230 11월 22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4-11-26 1288
1229 9월 9일 쇠날 흐림 옥영경 2005-09-19 1288
1228 2006.3.10.쇠날.맑음 / 삼도봉 안부-화주봉(1,207m)-우두령 옥영경 2006-03-11 1288
1227 6월 19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6-22 1289
1226 2007. 3.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03-28 1289
1225 2007. 3.23.쇠날. 맑음 옥영경 2007-04-09 1289
1224 2007. 6.20.물날. 맑음 옥영경 2007-06-28 1289
1223 2008. 5.29.나무날. 갬 옥영경 2008-06-09 1289
1222 2008. 8.21.나무날. 종일 비 옥영경 2008-09-13 1289
1221 4월 몽당계자(130 계자) 닫는 날, 2009. 4.12.해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289
1220 2011.12.29.나무날. 정오 개다 옥영경 2012-01-03 1289
1219 12월 22일 물날 흐림 옥영경 2005-01-02 1290
1218 3월 6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3-06 1290
1217 2006.11.14.불날. 큰 바람 옥영경 2006-11-20 1290
1216 2007.10.30.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09 1290
1215 2008.11. 6.나무날. 경제처럼 무거운 하늘 옥영경 2008-11-24 12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