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25.해날. 맑음

조회 수 1246 추천 수 0 2007.04.09 00:07:00

2007. 3.25.해날. 맑음


국선도 청년회모임에서 농활을 온다 했더랬습니다.
학교 큰마당 가장자리에 종균을 넣은 뒤 한 해 동안 쌓여있던 표고목을
오늘 지어놓은 표고장하우스로 옮기겠다 별렀지요.
폐가 될까 도시락까지 싸들고 온다던 그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편에서 일이 생겨버렸네요.
다른 날을 기약합니다.

아이들이야 주중이고 주말이고가 없습니다.
학교는 늘 놀이터이지요.
“뭐하는 거야?”
종훈이가 홀로 배움방에서 크레파스를 늘여놓고
커다란 도화지 앞에 있었습니다.
"하다형이 하라 그랬어요."
못다 그렸던 속틀을 마저 그리고 있었던 겁니다.
아이들이 사는 이야기를 들여다보는 것 만한 즐거움이 또 어디 있을라구요.

저녁 7시, 경건의 시간이자 깊은 명상의 시간인 ‘호숫가나무’가 있었고
이어서 마을식구가 다 모이는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따스한 노래들을 부르고
그간의 생활을 돌아보며 ‘거울보기’도 하고
‘감사와 불평의 시간’(아직 이름을 붙이지 못했지만)도 있었네요.
불평의 시간은 짜증이나 화를 발산하는 자리가 아니라
내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내 생각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한편, 네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하고 타인의 생각을 보는 시간이지요.
그런데 그렇게 바라보는데 시간이 걸릴 테지요.
째째하고 쪼잔하고 쫀쫀한 서로를 확인하는 게 아니라
깊은 성찰을 자아내는 시간이기를 기대합니다.
“이 공간에 감사해요. 단지 두 명을 위해 샘들이 애쓰는 것 보면 참 고마워요.
어떻게 이런 걸 누릴 수 있을까, 이런 곳이 만들어지기까지 애쓰셨을 시간이 고맙고...”
감사는 또 감사를 낳지요.
호숫가 나무에서 왜 백배서원 절을 해야 하는지 아직 모르겠다는 이도 있는 반면
넘쳐나는 감사함을 전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 편차들이 심하나 이런 시작이 즐겁습니다.
우리는 영적훈련을 통해 잘 성장할 테니까요.
다가오는 학교 세 돌잔치를 어찌 할까 의논도 하였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65 2011.10.13.나무날. 썩 커다란 달무리 옥영경 2011-10-21 1240
4964 2007. 4.16.달날. 비 옥영경 2007-04-27 1240
4963 2006.4.10.달날. 비 옥영경 2006-04-11 1240
4962 2005.11.13.해날.맑음 / 중량(重量)초과(草果) 生 옥영경 2005-11-14 1240
4961 9월 1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9-14 1240
4960 2012. 3. 5.달날. 경칩에 종일 비 옥영경 2012-04-06 1239
4959 2011.11.23.물날. 비와 해와 구름과 거친 바람과 옥영경 2011-12-05 1239
4958 2008. 7.20.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8-07-27 1239
4957 2007. 2.12.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16 1239
4956 3월 19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3-21 1239
4955 2월 9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2-16 1239
4954 147 계자 닫는 날, 2011. 8.19.쇠날. 맑음 옥영경 2011-09-06 1238
4953 2011. 6.25.흙날. 비 옥영경 2011-07-11 1238
4952 2011. 5.20.쇠날. 맑다 오후 비 옥영경 2011-06-04 1238
4951 2008. 6. 4. 물날. 빗방울 간간이 옥영경 2008-06-23 1238
4950 2007. 8.31.쇠날. 비 옥영경 2007-09-21 1238
4949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38
4948 6월 13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6-17 1238
4947 5월 22일 해날 아주 잠깐 저녁 비 옥영경 2005-05-27 1238
4946 2012. 3.12.달날. 꽃샘추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3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