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27.불날. 정오께 짙은 구름 들더니 빗방울

조회 수 1286 추천 수 0 2007.04.09 00:08:00

2007. 3.27.불날. 정오께 짙은 구름 들더니 빗방울


아침마다 된장 항아리 뚜껑을 열고
해질 무렵 닫습니다.
삼촌이 먼저 열어놓을 때가 많으시지요.
항아리 안의 마른 홍고추 숯 통깨 말고도
그렇게 달디 단 바람과 고소한 볕이 닿아 맛난 된장이 되는 게지요.
시간의 층이 주는 감동이
엄청난 세월을 보여주는 퇴적층에만 있는 게 아니랍니다.
이렇게 된장이 되어가는 과정을 보는 것도 못잖지요.
그 시간을 함께 살아 숨쉬기 때문에 더할 겝니다.
“점심 먹고 달골 갔는데, 구름이 꽉 끼는 거야.”
“아, 된장!”
“놀래서 좇아내려왔지.”
곁에 있던 류옥하다도 얼른 묻습니다.
“그래서 비가 들어갔어요?”
애들이 눈이 동그래졌지요.
“아니지, 닫았지.”
모두 박수를 보냈더랍니다.

종대샘이 드디어 우체통을 심었(?)습니다.
새 것인데 오래 써온 것 같은 질감을 주는 노란 우체통입니다.
웬만큼 큰 서류봉투도 구겨지지 않고 들어가라고
넉넉하기도 한 크기입니다.
차를 타고 오면서도 우편물을 꺼낼 수 있는 위치에 달았지요.
“나는 이 큰 게 두 다리에 얹혀지는 게 신기해.”
류옥하다는 마냥 신이 났습니다.
문을 열면 더한 감동입니다.
새가 들어가 살고 싶겠는 집이랍니다.
마당 안에서 쳐다보면 더 빛이 나요.
마치 ‘내가 한 것처럼’ 뿌듯합니다.

아이들에게 국화(한국화)를 가르쳐주시는 미죽 최병기샘이
점심식사에 초대해주셨습니다.
“영동 나와 있다며? 얼릉 와.”
맛나기도 한 칼국수였지요.
그리고 옷가지들을 실어주셨습니다.
평생을 입어도 못다 입을 것들이 쟁여진 옷방에 보태질 옷들이지요.
아이들 연극소품으로도 잘 쓰이겠지만
잘 가려 입기도 하겠습니다.
넘쳐나는 이 많은 물건들을 어쩌나,
마구 헤픈 이 시대의 물질풍요가 넘어가지 못할 벽처럼 까마득할 때마다
똑바로 정신 차리고 잘 살아야지 결심하는 것 말고는 별 뾰족한 수도 없는데
마음만 조바심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358 2006.12. 7.나무날. 비 옥영경 2006-12-11 1289
5357 2005.9.30.쇠날. 흐리다 부슬비 옥영경 2005-10-01 1289
5356 8월 30일 불날 빗방울 휘익 지나다 옥영경 2005-09-12 1289
5355 5월 30일 달날 맑음, 찔레꽃 방학 중 옥영경 2005-06-03 1289
5354 12월 27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289
5353 2008.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88
5352 2008. 6. 9.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02 1288
5351 2006.11.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11-03 1288
5350 2006. 9.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5 1288
5349 8월 20-22일, 이동철샘 풍물 나눔장 옥영경 2005-09-09 1288
5348 6월 11일 흙날 아무 일 없던 듯한 하늘 옥영경 2005-06-17 1288
5347 2011. 9. 9.쇠날. 흐림 옥영경 2011-09-18 1287
5346 143 계자 여는 날, 2011. 1. 9.해날. 맑음 옥영경 2011-01-12 1287
5345 2008.10. 6.달날. 갬 옥영경 2008-10-20 1287
» 2007. 3.27.불날. 정오께 짙은 구름 들더니 빗방울 옥영경 2007-04-09 1286
5343 2006.10.10.불날. 맑음 옥영경 2006-10-12 1287
5342 2006.5.8.달날. 흐림 옥영경 2006-05-11 1287
5341 7월 26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8-01 1287
5340 5월 7일 흙날 안개비로 꽉차 오다 맑았네요 옥영경 2005-05-14 1287
5339 11월 9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1-22 128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