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 4.불날. 비

조회 수 1119 추천 수 0 2007.09.23 16:57:00

2007. 9. 4.불날. 비


셈놀이가 있는 불날입니다.
집중교과는 학기마다 과목이 달라지지만
학교사정으로 이번학기는 지난 학기에 이어 합니다.
상범샘이 아이들과 복습을 하고 있었지요.
두어 차례 되짚기가 끝나면
도량형과 도형을 다뤄보려 합니다.

학기가 시작되긴 했나봅니다.
고요하게 바라보기도 하고
피아노에 맞춰 노래 부르는 소리도 들리고
장편동화를 읽어주는 샘의 목소리가 학교를 채우고 있습니다.

저녁은 종훈네서 기락샘 맞이 상이 차려졌습니다.
원님 덕에 나팔이지요,
공동체식구들이 몸보신하였지요.
“종훈이아빠가 차린 게 없다고 어찌나 뭐라 그러는지...”
박진숙엄마의 겸연쩍은 인사입니다.
상에 빈자리가 나지도 않았거니와
그가 잘 먹는 요리 하나만 있으면 최고의 상이지요.
저만 하더라도 고구마줄기무침을 어찌나 맛나게 먹었던지요.
마지막에 나온 누룽지는
비오는 밤에 차처럼 마시기에 얼마나 좋았던지요.

임시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종훈네서 밥을 먹은 뒤끝이었지요.
두레상을 가을 학기에는 쉬기로 합니다.
사람이 많지 않으니 서로 연락이 어려운 것도 아니고
의논체계가 복잡할 것도 없고
외려 구성원들 각자가 시간을 잘 쓸 수 있도록 하는 게
지혜롭지 않겠냐는 것이었지요.
같이 명상할 자리가 없어 아쉬우나
공동체에서도 아침모임을 하고
종훈네서도 국선도 수련을 하고 있으니
영성훈련의 장이 아주 없는 것도 아니지요.
어른들에겐 스스로를 잘 다듬는 한 학기가 될 겝니다.
다가오는 겨울 긴 긴 밤은
우리를 더욱 영적으로 성장시킬 시간이지 않겠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54 2020. 2.26.물날. 갬 옥영경 2020-04-01 502
1353 2020. 2.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502
1352 2019.12.31.불날. 해 옥영경 2020-01-17 502
1351 2019.11.20.물날. 맑음 / 서울 북토크: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옥영경 2020-01-09 502
1350 3월 빈들 이튿날, 2024. 3.30.쇠날. 소나기 지나다 옥영경 2024-04-18 501
1349 2023. 1. 7.흙날. 맑음 / 171계자 샘들 미리모임 옥영경 2023-01-09 501
1348 2019.11. 4.달날. 맑음 옥영경 2019-12-27 501
1347 2019. 8.28.물날. 흐림 / 고무신 옥영경 2019-10-11 501
1346 2022. 1. 8.흙날. 맑음 / 169계자 샘들 미리모임 옥영경 2022-01-12 500
1345 2024. 1.20.흙날. 비 / 발해1300호 26주기 추모제 옥영경 2024-01-30 499
1344 2023.10.31.불날. 맑음 옥영경 2023-11-12 499
1343 2023. 9. 6.물날. 맑음 옥영경 2023-09-19 499
1342 2023. 9.10.해날. 흐림 / 설악행 이튿날 옥영경 2023-09-30 498
1341 2021.11.19.쇠날. 맑음 옥영경 2021-12-23 498
1340 2020.10.10.흙날. 맑음 / 새 책 출간 계약서 옥영경 2020-11-18 498
1339 2월 어른의 학교 사흗날, 2022. 2.27.해날. 밤 눈싸라기 폴폴 옥영경 2022-03-24 497
1338 2019.11.24.해날. 흐리다 밤비 옥영경 2020-01-10 497
1337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496
1336 2020. 1. 2.나무날. 조금 흐림 옥영경 2020-01-20 496
1335 2019.11. 5.불날. 맑음 옥영경 2019-12-28 49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