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31.물날. 들여다보면 비치겠는 하늘

조회 수 1514 추천 수 0 2007.11.13 10:33:00

2007.10.31.물날. 들여다보면 비치겠는 하늘


감을 따놓고 깎을 짬을 못 내고 있었습니다.
금새 물러지지요.
오늘은 그예 하자 합니다.
모두 달라붙어 깎아
곶감집 감타래에 올라 매달았습니다.
예쁘기도 예쁩니다.
내려다보이는 학교 마당도 예쁘고
아랫집 지붕도 예쁘고
올려다 이는 하늘도 예쁘고
건넛산 단풍도 예쁘고...
무엇보다 줄을 맞춰 늘어선 곶감이
옹글옹글 젤 예뿌지요.
곶감 꼬치에서 곶감 빼 먹듯,
겨울 속에서 정말 하나 하나 빼 먹을 양입니다.
아래 밭에서 홍시를 따던 신씨할아버지,
긴 장대를 감타래로 쑤욱 내미셨습니다.
장대 끝에 그 나무에서 가장 컸을
빠알간 홍시 걸려있었지요.
너무 고와서(‘반중조홍감이 고와도 보’인댔지요)
먹도 못하고 들고만 있었더랬답니다.
“그런데 왜 ‘곶감’이라 해요?”
그래요, 마른감(건감)이라 않고 왜 곶감이라 부를까요?
이렇게 매달고 있으면 그 답도 해결됩니다.
꼬챙이에 꽂은 감이란 뜻이지요.
호랑이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라는 옛 얘기서부터
곶감은 참 자주도 입에 오릅니다.
“곶감 죽을 먹고 엿목판에 엎어졌다.”
연달아 좋은 수가 생길 때 그러지요.
마음이 언잖아 입맛이 쓸 때도
'곶감이 접 반이라도 입이 쓰다'합니다.
싱겁게 웃고 있을 때 핀잔하면서도 곶감을 들먹이지요.
“곶감 죽을 쑤어 먹었나...”
'당장 먹기엔 곶감이 달다' 는 말도 있던가요.

어제 임시밥알모임이 있은 뒤라
공동체식구모임을 쉬어갑니다.
대신 플레이오프 포항 대 수원 축구경기를 관람하였지요.
고래방에 옹기종기 모여 앉았더랬습니다.
다시 태어나면 꼭 축구선수를 하겠다는
축구 광신도 류기락 선수의 등장으로
이리 모여 경기깨나 보겠습니다.

어제부터 촬영 중인 EBS <다큐 여자>에서는
오늘 영동대에서 하는 동작교육수업을 좇아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414 2023. 8.23.물날. 작달비 / 면회 옥영경 2023-08-26 507
1413 2023. 8.21.달날. 오후, 걷힌 하늘 / 그대에게 옥영경 2023-08-22 507
1412 2022. 1.25.불날. 가랑비 옥영경 2022-01-31 506
1411 2019.12.17.불날. 비 / 밥바라지, 오란 말인지 오지 말란 말인지 옥영경 2020-01-16 506
1410 2019.11. 6.물날. 오후 흐림 옥영경 2019-12-28 506
1409 2020. 4.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5-27 505
1408 2019.11. 3.해날. 맑음 옥영경 2019-12-27 505
1407 2023.10.16.달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3-10-24 504
1406 2020. 3.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4-08 504
1405 2019.11.12.불날. 맑음 옥영경 2019-12-31 504
1404 2023. 9. 3.해날. 맑음 옥영경 2023-09-14 503
1403 2021. 1.29.쇠날. 맑음, 그리고 밤눈 옥영경 2021-02-13 503
1402 2019.10.28.달날. 맑음 / 우리 아이가 잘 먹지 않아요 옥영경 2019-12-16 503
1401 2023 여름, 172계자(8.6~11) 갈무리글 옥영경 2023-08-14 502
1400 2022. 1.22.흙날. 흐리다 한 방울 비 지난 저녁 / 페미니즘을 말하는 책 두 권 옥영경 2022-01-30 502
1399 2023.11.17.쇠날. 첫눈 옥영경 2023-11-25 501
1398 2023. 8.22.불날. 비 소식 있었으나 / 그대에게 옥영경 2023-08-26 501
1397 2022. 5. 6.쇠날. 맑음 / 동학농민 무장기포지와 ‘책마을 해리’ 옥영경 2022-06-14 501
1396 2020. 1. 6.달날. 비 옥영경 2020-01-20 501
1395 2022. 6.20. 달날. 먹구름 한 덩이 옥영경 2022-07-09 50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