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 4.불날. 눈

조회 수 1497 추천 수 0 2007.12.27 00:16:00

2007.12. 4.불날. 눈


“저녁은 어디에서 오는가?”
누군가 물었습니다.
“노을을 보고 선 너로부터...”
그가 대답했습니다.
“이 산골 저녁은 어디로부터 왔는가?”
그리 묻는다면 이리 대답하겠습니다.
“눈 털고 산 너머로 달아난 바람 꼬랑지로부터...”
오늘 하루도 애쓰셨습니다!
누구에겐들 고단치 않았을 라나요.
또 하루가 갑니다.

오후에 아이들은 연탄아궁이 바람구멍을 만들었습니다.
사택 고추장집 난로구멍이 셋인데,
죄 망가졌지요.
종이를 구겨 쑤셔놓아도 불구멍 조절이야 되지만
아무렴 제 짝만 할까요.
치수를 재고 종이상자를 오리고...
미술시간이 되었더랍니다.

긴긴 산골의 겨울밤은
묵상하기에도 책을 읽기에도 얼마나 고마운 선물인지요.
한 아이의 성장사가 담긴 사진집을 들추는데
문득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말이 생각켰습니다.
“시간은 신성하다. 왜냐하면 매 순간순간이 메시아가 들어가는 좁디좁은 문일 수도 있으니까.”
볼프강 베르크만은 <아이 사랑도 기술이다>(지향/2007)에서
이리 이어 쓰고 있었지요.

“아이의 체험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매 순간순간 아이의 삶은 각인되고,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미래에 끼칠 그 영향은 너무도 중요해서 어느 누구도 평가내릴 수 없다. 시간은 귀중하고, 정말로 신성한 것이다.
지금 이 순간과 다음 순간, 모든 순간은 중요하다. 모든 순간은 과거이고 미래이며, 모든 순간은 과거와 미래를 비추는 참된 현재이다. 그렇게 산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알맞은 삶이다. 우리는 그것을 배워야 한다.”

그래요, 그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434 2019. 9. 6.쇠날. 흐리다 비바람 옥영경 2019-10-16 542
1433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541
1432 167계자 이튿날, 2021. 1.18.달날. 눈 옥영경 2021-02-07 541
1431 2020. 3.3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5-06 541
1430 2020. 3.1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4-16 541
1429 2020. 3.12.나무날. 맑음 / <상호부조론> 옥영경 2020-04-13 541
1428 2020. 1.11.흙날. 맑음 / 165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0-01-22 541
1427 2023.10.10.불날. 맑음 옥영경 2023-10-24 540
1426 170계자 닷샛날, 2022. 8.11.나무날. 흐림 / 저기 보물산! 옥영경 2022-08-23 540
1425 '2021 연어의 날' 닫는 날, 2021. 6.27.해날. 맑음 옥영경 2021-07-23 540
1424 2019. 9.19.나무날. 맑음 / 낭독회, 그리고 하루 옥영경 2019-10-30 540
1423 2023. 8.30.물날. 비 옥영경 2023-09-06 539
1422 2023.11.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538
1421 2023. 8.27.해날. 구름 / ‘멧골 책방·2’ 닫는 날 옥영경 2023-09-03 538
1420 2019. 6. 9.해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9-08-05 538
1419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537
1418 2023. 8.23.물날. 작달비 / 면회 옥영경 2023-08-26 537
1417 2022. 5.23.달날. 맑음 / 설악산행 이틀째, 공룡능선 옥영경 2022-06-19 536
1416 2019.12.1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1-16 536
1415 2019.10.28.달날. 맑음 / 우리 아이가 잘 먹지 않아요 옥영경 2019-12-16 53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