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12.불날. 맑으나

조회 수 1257 추천 수 0 2008.03.07 17:06:00
2008. 2.12.불날. 맑으나


영하권입니다.
바람도 여간 세지 않습니다.
얼어붙은 천지는
마치 흐린 날이기라도 한 양 먹먹합니다.
이런 날은 꼭 ‘금관의 예수’가 떠오르지요.
기독교인이 아니었어도
금관이 아닌 가시면류관을 쓰고 맨발로 누추한 이들 곁에 했던 예수는
혁명을 꿈꾸던 그 시절의 모든 이들의 추앙이었습니다.
같은 제목의 김지하의 희곡 들머리에 나오던 시를
김민기가 곡을 붙였더랬지요.
우리는 얼어붙은(?) 거리에서
어깨 겯고 목이 터져라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과에 노래패 하나쯤은 다 있던 그 시절
과방에서가 아니어도
종로 뒷골목 막걸리집에서, 명동 앞골목 찻집에서
‘가투’란 게 끝나고 상승됐던 분위기가 가라앉고 나면
마지막은 웅얼거리듯 불렀더랍니다.

얼어붙은 저 하늘
얼어붙은 저 벌판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저 가난의 거리
어디서 왔나
얼굴 여윈 사람들
무얼 찾아 헤매이나
저 눈 저 메마른 손길

안되겠다 싶어 달골 달려가 온도 조절을 했지요.
창고동이 휑한 건물이다 보니
보일러가 얼지 않을까 늘 신경이 쓰입니다.
감기가 돌던 겨우내 까닥 없던 산골 아이도
날이 모지니 머리가 지끈거리나 봅니다.
오늘은 식구들이 모다 이른 저녁을 먹고
일찌감치 아랫목으로들 들어갔지요.

공동체식구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고 있는 안인경님이
다시 방문하셨습니다.
지낼 집도 둘러보고
서로 눈을 보고 물어야할 것들도 하나 하나 챙겼지요.
“말은 말이지요.”
그러게요,
말은 말이지요.
사는 일은 또 다른 것일 겝니다.
일단 같이 뒹굴어보자 하였지요.
간디의 말을 떠올리며 그를 보냈답니다.
“나는 내 집 사방이 담으로 둘러싸이고 창문들이 닫히는 걸 원치 않는다. 나는 세상의 모든 문화가 내 집으로 최대한 자유로이 들어오길 바란다. 그러나 내가 쓸려 나가는 것은 거부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518 2020. 1.11.흙날. 맑음 / 165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0-01-22 547
1517 165 계자 여는 날, 2020.1.12.해날. 맑음 옥영경 2020-01-23 703
1516 165 계자 이튿날, 2020. 1.13.달날. 눈발 날리다 해난 옥영경 2020-01-24 741
1515 165 계자 사흗날, 2020. 1.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1-26 658
1514 165 계자 나흗날, 2020. 1.15.물날. 맑음 옥영경 2020-01-27 941
1513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614
1512 165 계자 닫는 날, 2020. 1. 1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8 672
1511 2019학년도 겨울, 165 계자(2020. 1.12~17) 갈무리글 옥영경 2020-01-28 833
1510 2020. 1.18.흙날. 맑음 옥영경 2020-02-20 537
1509 2020. 1.19.해날. 아침 이슬비 옥영경 2020-02-20 509
1508 2020. 1.20.달날. 아침에도 밤에도 눈발 옥영경 2020-02-20 587
1507 2020. 1.2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2-20 729
1506 2020. 1.22.물날. 오후 짤끔거리다 저녁비 옥영경 2020-02-21 519
1505 2020. 1.23.나무날. 비, 축축하게 옥영경 2020-03-02 445
1504 2020. 1.24.쇠날. 잠깐 볕 옥영경 2020-03-03 402
1503 2020. 1.25.흙날. 잠깐 볕 옥영경 2020-03-03 466
1502 2020. 1.26.해날. 저녁부터 비 옥영경 2020-03-03 443
1501 2020. 1.27.달날. 비, 질기게 옥영경 2020-03-03 430
1500 2020. 1.28.불날. 흐림 옥영경 2020-03-03 471
1499 2020. 1.29.물날. 흐린 사이 간간이 흩뿌리는 비 옥영경 2020-03-04 54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