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8.22.쇠날. 밤마다 비오는 날들

조회 수 1316 추천 수 0 2008.09.13 23:54:00

2008. 8.22.쇠날. 밤마다 비오는 날들


“이제 때가 됐어요. 해바라기 수확할 거예요.”
어제부터 아이가 벼르고 있더니
종일 뵈질 않았습니다.
쉬엄쉬엄 일도 하고 졸기도 하다
그러다 식구들 밥상을 차려내는 느린 움직인 사이로
아이가 어느 순간 쏜살같이 달려와 쑤욱 주먹을 내밀었네요.
해바라기씨입니다.
그리고 엄마 손을 붙잡고 제가 따서 널어놓은 씨앗을 보여주러 갑니다.
국대접보다 냉면그릇보다도 더 커다란 해바라기 꽃주머니가 있었지요.
“내 오줌의 힘이라니까...”
실합니다.
씨앗을 심고 여름날을 내내 돌보고 그리고 수확을 했습니다.
그게 고스란히 배움의 과정이었지요.
해바라기처럼 아이가 웃고 있습니다.
해바라기가 아직 거기 피어 있는 겁니다.

‘황금마차’가 오는 날이었습니다.
우리는 그리 부릅니다.
생활용품에서부터 왼갖 걸 싣고 등장하는 트럭가게이지요.
가게가 없는 이 산골에서 새벽 점심 저녁에 나가는 버스를 타지 않아도
우유 같은 비저장성 재료들을 구할 수 있는 것도 그곳입니다.
약장수처럼 신바람 나는 음악을 틀고 마을로 들어오지요.
마을 안에서는 노래가 멎고 상품 목록이 이어집니다.
이모할머니라 부르는 앞집 할머니가 거기서 장을 봐오십니다.
까만 봉지를 털래털래 들고 오십니다.
마을 사랑방 같은 학교 앞 할머니댁에서 모여 도란거리다
황금마차에서 두부 한 모쯤 사신 걸까요?
당신 걸음이 참 많이 쓸쓸해지셨습니다.
물꼬가 여기 처음 왔던 게 96년 가을이었으니
십년도 더 넘어 되었지요.
두 분 정답게 사시다 할아버지 자리에 누우시고 몇 해
혼자 되셨습니다.
그러고도 또 몇 해가 흘렀지요.
사람 사는 일이 참 부질없다가
그게 또 자연스러움이겠구나 받아들이고
빨래하고 밥하고 청소하고 밭에 들고 공부하고
그렇게 삶을 채워가는 이 산골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458 2007. 9.13.나무날. 맑음 / 남도에서 온 택배 옥영경 2007-09-25 1302
5457 2007. 6. 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22 1302
5456 2007. 5. 6.해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302
5455 2007. 4. 2.달날. 옅어진 황사 옥영경 2007-04-16 1302
5454 2006.12.24.해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302
5453 2006.5.1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6-05-13 1302
5452 지금, 당장, 평화롭기, 정작 나도 자주 잊어버리지만! (2005.10) 옥영경 2005-12-28 1302
5451 10월 15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302
5450 10월 4일 달날 흐림 옥영경 2004-10-12 1302
5449 2009. 2.16.달날. 다시 얼고 고래바람 옥영경 2009-03-07 1301
5448 2008. 8.21.나무날. 종일 비 옥영경 2008-09-13 1301
5447 2008. 7.21.달날. 갬 옥영경 2008-07-30 1301
5446 2006.11.14.불날. 큰 바람 옥영경 2006-11-20 1301
5445 2006.4.19.물날. 비바람 옥영경 2006-04-21 1301
5444 2006.3.10.쇠날.맑음 / 삼도봉 안부-화주봉(1,207m)-우두령 옥영경 2006-03-11 1301
5443 2012.12. 3.달날. 푹하다 바람과 비 흩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2-12-17 1300
5442 2011. 7. 7.나무날. 아침 비 옥영경 2011-07-18 1300
5441 2011 봄 몽당계자(4.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11-05-05 1300
5440 7월 27일 물날 꺾이지 않는 더위 옥영경 2005-08-01 1300
5439 2011.11.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1-11-23 12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