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 8.물날. 맑음

조회 수 1312 추천 수 0 2008.10.20 04:53:00

2008.10. 8.물날. 맑음


고구마를 캤습니다.
지난 봄 서초FC 식구들이 와서 같이 심은 것입니다.
너무 가물어 몇 고랑은 몇 날 뒤 더 심기도 했댔습니다.
그런데, 수확량이 참...
산에서 내려온 고라니가 먹고(멧돼지는 또 아니 먹었을까요?)
땅에선 굼벵이와 두더지가 먹고
그리고 달랑 그게 남았습니다.
종자보다 적겠다고들 합니다.
서글픔이 좀 일기도 하였지요.
그런데 그거면 또 그것만큼 먹으면 될 일입니다.
어차피 돈사자고 하는 일이 아니니
그리 타격일 것도 아니지요.
쌀이야 아직 도가지에 있고,
곧 거둘 벼가 있으니 먹을 일이 걱정일 것도 아니지요.
“그래도 우리 식구들 쪄먹고 튀겨먹고...”
아이의 저 긍정성 좀 보셔요,
참 많이 보고 배울 아이라는 존재들입니다.

귀농을 하려는 모임 사람들이 답사 다녀갔습니다.
공간을 빌려달라는 것이었고
(하필 이웃에서 유기농사 짓는 분의 간곡한 부탁이 있었지요),
분명하게 우리가 할 수 없는 것을 말했지만
막무가내 다만 공간만 내주기만 하면 된다 했습니다.
이 공간이 정말 필요하다고 하니 또 별 수 없이 내준다 합니다,
화목보일러가 되지만 그때 우리가 불을 때줄 수는 없다고 전하고.
“학교와 달골을 다 쓰실 수는 있는데...”
둘러보더니 양쪽으로 나뉘면 시선이 분산되겠다고
아래만 쓰겠다 결정했습니다.
이곳의 시월의 밤이 만만찮다고 극구 말려도
한사코 잘 견뎌낼 수 있다 합니다.
우리가 뒷바라지를 따로 할 수 없다,
물꼬 논두렁이 아니라면 공간을 빌려주거나 하는 일도 하지 않는데
귀농을 하려는 이들의 모임이라니 말 그대로 공간만 내 준다,
그렇게 내놨습니다.
공간이용료는 물꼬 후원을 하는 걸로 대신하라 했지요.
잘한 짓인가 모르겄습니다.
그래도 달골 창고동에서 자라고 간곡히 말했어야하는 건 아니었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74 6월 4일 흙날 흐리다 개다 옥영경 2005-06-06 1286
1273 2006.4.14.쇠날. 맑음 옥영경 2006-04-15 1286
1272 2007. 2. 25.해날. 비 지나다 옥영경 2007-03-06 1286
1271 2012. 2. 4.흙날. 맑음 옥영경 2012-02-17 1286
1270 2008. 8.24.해날. 맑음 옥영경 2008-09-13 1287
1269 2008.11. 2.해날. 꾸물럭 옥영경 2008-11-14 1287
1268 11월 7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4-11-19 1288
1267 8월 30일 불날 빗방울 휘익 지나다 옥영경 2005-09-12 1288
1266 2005.11.12.흙날.맑음 / 김장 옥영경 2005-11-14 1288
1265 2009. 2. 9.달날. 맑음 / 정월대보름 옥영경 2009-02-24 1288
1264 2009. 2.16.달날. 다시 얼고 고래바람 옥영경 2009-03-07 1288
1263 2007. 7. 5.해날. 날 개다 옥영경 2009-07-16 1288
1262 2011. 6. 9.나무날. 흐린 하늘 / 단식 4일째 옥영경 2011-06-18 1288
1261 108 계자 열흘째, 2006.1.11.물날. 맑음 옥영경 2006-01-14 1289
1260 2007. 1. 6.흙날. 눈, 눈 / 11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7-01-10 1289
1259 2007. 4.17.불날. 맑음 옥영경 2007-04-27 1289
1258 2007. 5.24.나무날. 오후 비 / 못밥 옥영경 2007-06-13 1289
1257 2008.11. 9.해날. 비 지나다 옥영경 2008-11-24 1289
1256 2009. 3.17.불날. 노란 하늘이나 햇살 두터운 옥영경 2009-03-29 1289
1255 2005.12.29.나무날.맑음 / 젊은 할아버지가 내신 밥상 옥영경 2006-01-02 12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