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4.28.달날. 많은 비

조회 수 691 추천 수 0 2014.05.28 11:26:51


봄비라 부르기 무색한 창대비.

고사리 꺾으러 들어가기로 했던 날입니다.

하지만 비에 되려 꺾였네요.

이맘때 아이들과 학교 둘레 기슭을 헤집거나,

마을 할머니들과 날 받아 같이 오르거나 하는 산나물 철.

올해는 날만 흘러가고 고사리 얼굴도 못 보다가

마침 이웃마을에서 당신 산이 온통 고사리 밭이라 하기

하루 손 보태고 얻어도 오기로 했던.

다른 날을 기약하고.

그런데, 잠시 들린 또 다른 이웃네집,

바로 곁의 둔태기산이 온통 고사리라고.

여기 아니면 저기서 일이 되는.

비 조금씩 추적이라는데 나서지요.

금세 한 아름.

좇아와 당장 데쳐 넙니다.

이리하야 올 봄에도 고사리 뜯었다는.


이틀의 산오름을 마치고 남은, 산너머에서 온 산삼과 백작약과 참당귀를

달골 마당 귀퉁이에 심었습니다.

세신도.

뭔가를 옮기자 하면 그것이 처음 살았던 조건을 잘 살펴야 하는 바

이곳은 뒤집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마사질이라

어째 잘 커나갈 수 있을는지 걱정은 하면서도

자주 들여다보며 키워보자 합니다.


물꼬의 한뙈기 밭에선

옥수수도 마늘도 잘 자라고 있습니다.

무정한 산천처럼 커가는 것도 그러합니다.

"잘 키웠데... 뭘 줬어? 비료도 안주잖아!"

어르신들 지나시며 한 마디씩.

농약 없이 비료 없이 여태 짓고, 아직도 그리 키우고 있는 물꼬 밭을 보며

조금만 실해도 감탄을 던지시는.

돈사자고 하는 일 아니니 이만만 하면 되었다,

오가는 아이들 주전부리거리만 돼도 되지,

딱 그렇게 짓는 농사.


지난밤부터 밤새 내리고 잠시 주춤하다가는

오다가다하더니 밤에 또 뿌리는 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38 2019 여름 청소년 계자(2019.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7 679
4937 2014. 1.25.흙날. 비 옥영경 2014-02-18 680
4936 2014.10. 8.물날. 구름 사이 보름달, 그리고 개기월식 옥영경 2014-10-28 680
4935 2015. 5. 2.흙날. 맑음 옥영경 2015-06-08 680
4934 2015. 8.23.해날. 갬 옥영경 2015-09-15 680
4933 2015. 8.26.물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5-09-18 680
4932 2015.12. 7.달날. 흐림 옥영경 2015-12-24 680
4931 2019. 5.16.나무날. 맑음 / 버들치 마을 옥영경 2019-07-19 680
4930 2014. 5.10.흙날. 맑음 옥영경 2014-06-04 681
4929 2014. 8.31.해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4-09-20 681
4928 2014.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14-10-22 681
4927 2014.12. 4.나무날. 다시 눈발 옥영경 2014-12-18 681
4926 2014.12.1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12-27 681
4925 2015. 3.14.흙날. 맑음 옥영경 2015-04-16 681
4924 2015. 5.27.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1
4923 2015. 9. 8.불날. 맑음 옥영경 2015-10-01 681
4922 2015.10. 5.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31 681
4921 2016. 3.23.물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81
4920 2016. 6.11.흙날. 맑음 옥영경 2016-07-09 681
4919 2013. 5.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6-10 68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