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21.불날. 흐림, 하지

조회 수 688 추천 수 0 2016.07.16 11:58:52


아침까지 비 왔다.

하지만 땅 겉만 살짝 아주 살짝 적셨다.

‘하지’다. 정점에서 다시 짧아지는 해.

늘 이맘때면 스웨덴의 하지제를 그리워한다.

내년에 웁살라에 있을 거라던 계획이 달라지면서

보리라던 하지제도 못 봐 아쉬울세.


바깥 수업을 가기 전 태석샘 저녁을 대접했다.

시 잔치에 놓였던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樂’ 조감도를

수채화로 그려주셨더랬네.

스마트폰에 코 박고 있다가 혼나는 아이들 이야기가 나왔다.

그래서 무슨 책을 읽고, 그래서 서로 무슨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겠는가,

그런 한탄들.

그런데 말이다, 아이들이 그렇게 하고 있는 절박한 무엇이 또한 있지 않겠는가!

우리 어른들의 더한 무엇(성찰?)이 더 필요하단 생각.

‘어른들은 뭔가 제 발이 저릴 땐 별것도 아닌 걸 부풀려가며 스스로 흥분하고, 스스로 화내고, 스스로 결론을 내려가며 장황하게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한 성장소설에서 열세 살 아이가 담임선생님의 정신교육에 그랬지.

‘어른들은 이상하게 남의 얘기를 잘도 지어내고 관심도 많았다. 다른 사람의 불행이 곧 자기의 행복도 아닌데, 남의 불행한 이야기는 아주 좋은 얘깃거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도 막상 남의 불행을 보면 같이 눈물짓는 게 또 어른들이었다. 그러나 남의 행복을 보고 같이 웃음 짓는 일은 별로 보지 못했다.’

그런 구절도 있었다.

낯이 뜨거워진다, 우리 그렇다, 나 그렇다.

아이들 앞에 설 때 훗날 저 아이가 이 순간을 기억하리라,

그러면 등을 곧추세우게 된다.

아이들 문화를 한탄하기 전 아이들 향해 애정으로 귀 기울여주기,

우리 꼴이나 좀 보기!


밤 2시 달 휘영청,

아, 하지의 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58 7월 6일 물날 장마 가운데 볕 옥영경 2005-07-16 1218
1857 8월 31일 물날 흐리다 비도 몇 방울 옥영경 2005-09-12 1218
1856 2008.11. 3.달날. 바람 불고 하늘은 자주 흐릿하고 옥영경 2008-11-14 1218
1855 131 계자 여는 날, 2009. 7.26.해날. 바짝 마른 날은 아니나 옥영경 2009-07-31 1218
1854 133 계자 이튿날, 2009. 8.10.달날. 흐림 옥영경 2009-08-22 1218
1853 2011. 2.12.흙날. 맑으나 바람 찬 옥영경 2011-02-26 1218
1852 2013 여름 청소년계자(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3-07-28 1218
1851 8월 26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9-11 1219
1850 2007. 1.2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03 1219
1849 2011. 6. 6.달날. 맑음 / 단식 1일째 옥영경 2011-06-14 1219
1848 2011. 7.29.쇠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219
1847 2011.10.11.불날. 띄엄띄엄 안개, 그래도 보름달이 옥영경 2011-10-21 1219
1846 2012. 3.29.나무날. 상쾌한 바람 뒤 저녁 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19
1845 152 계자 닷샛날, 2012. 8. 2.나무날. 흐리다 갠 뒤 소나기, 그리고 휘영청 달 옥영경 2012-08-04 1219
1844 2006. 9.12.불날. 흐림 옥영경 2006-09-19 1220
1843 2008. 9.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220
1842 142 계자 사흗날, 2011. 1. 4.불날. 맑음 옥영경 2011-01-09 1220
1841 2011. 7. 9.흙날. 대해리도 창대비 옥영경 2011-07-18 1220
1840 2011.10.22.흙날. 비 옥영경 2011-10-31 1220
1839 2019. 1.31.나무날. 맑음 / 돌아오고 얼마쯤 뒤 옥영경 2019-02-03 122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