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21.불날. 흐림, 하지

조회 수 691 추천 수 0 2016.07.16 11:58:52


아침까지 비 왔다.

하지만 땅 겉만 살짝 아주 살짝 적셨다.

‘하지’다. 정점에서 다시 짧아지는 해.

늘 이맘때면 스웨덴의 하지제를 그리워한다.

내년에 웁살라에 있을 거라던 계획이 달라지면서

보리라던 하지제도 못 봐 아쉬울세.


바깥 수업을 가기 전 태석샘 저녁을 대접했다.

시 잔치에 놓였던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樂’ 조감도를

수채화로 그려주셨더랬네.

스마트폰에 코 박고 있다가 혼나는 아이들 이야기가 나왔다.

그래서 무슨 책을 읽고, 그래서 서로 무슨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겠는가,

그런 한탄들.

그런데 말이다, 아이들이 그렇게 하고 있는 절박한 무엇이 또한 있지 않겠는가!

우리 어른들의 더한 무엇(성찰?)이 더 필요하단 생각.

‘어른들은 뭔가 제 발이 저릴 땐 별것도 아닌 걸 부풀려가며 스스로 흥분하고, 스스로 화내고, 스스로 결론을 내려가며 장황하게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한 성장소설에서 열세 살 아이가 담임선생님의 정신교육에 그랬지.

‘어른들은 이상하게 남의 얘기를 잘도 지어내고 관심도 많았다. 다른 사람의 불행이 곧 자기의 행복도 아닌데, 남의 불행한 이야기는 아주 좋은 얘깃거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도 막상 남의 불행을 보면 같이 눈물짓는 게 또 어른들이었다. 그러나 남의 행복을 보고 같이 웃음 짓는 일은 별로 보지 못했다.’

그런 구절도 있었다.

낯이 뜨거워진다, 우리 그렇다, 나 그렇다.

아이들 앞에 설 때 훗날 저 아이가 이 순간을 기억하리라,

그러면 등을 곧추세우게 된다.

아이들 문화를 한탄하기 전 아이들 향해 애정으로 귀 기울여주기,

우리 꼴이나 좀 보기!


밤 2시 달 휘영청,

아, 하지의 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78 2013. 6.10.달날. 맑음 옥영경 2013-06-23 692
1877 2016.12.21.물날. 비 옥영경 2016-12-30 691
1876 2016. 6.10.쇠날. 맑음 옥영경 2016-07-06 691
1875 2016. 5.31.불날. 맑음 옥영경 2016-06-30 691
1874 2015.10. 7.물날. 맑음 옥영경 2015-11-01 691
1873 2015. 7.30.나무날. 맑음, 보름달 옥영경 2015-08-05 691
1872 2015. 7. 3.쇠날. 맑음 옥영경 2015-07-30 691
1871 2015. 6.13.흙날. 구름 조금 맑음 옥영경 2015-07-20 691
1870 2015. 6. 6.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91
1869 2015. 3. 4.물날. 갬, 툭 떨어진 기온 옥영경 2015-04-01 691
1868 2015. 2.16~17.달~불날. 비, 이튿날 흐림 옥영경 2015-03-13 691
1867 2015. 1.19.달날. 흐리다 눈 날리는 옥영경 2015-02-13 691
1866 2014.10.16.~17.나무~쇠날. 썩 내키지 않는 걸음처럼 맑다고 하기는 그런 옥영경 2014-10-31 691
1865 2014 여름 청계 닫는 날, 2014. 8.17.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4-09-08 691
1864 2014. 6.29.해날. 오후 몇 방울 비 옥영경 2014-07-16 691
1863 2014. 6.19.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07-04 691
1862 2014. 6.27.쇠날. 비 한 방울 옥영경 2014-07-16 691
1861 2014. 5.26.달날. 갠 하늘로 바람 거세게 휘돌고 옥영경 2014-06-13 691
1860 2014. 5. 9.쇠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691
1859 2014. 4.24.나무날. 흐려간 오후, 그리고 몇 방울의 비 옥영경 2014-05-23 69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