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덥다.

제주도에서 장마가 시작 되었다.

연어의 날 행사를 끝내자마자 숨 돌릴 겨를 없이 소화해야 할 일들이 이어졌고,

비로소 오늘 느지막히 아침을 열었다.

행사 때 미처 손이 가지 못했던 일들, 그래서 눈에 남았던 자잘한 일들을 살피기도.

“앗!”

피아노 덮개도 빨지 못하고 행사를 맞았댔구나.

비로소 걷어내 빤다.

피아노 위에 놓인 장식품이 또 걸리지.

헝겊으로 만든 장식품들도 먼지를 털고 빨았다.

샘들이 손을 보다 말고 쌓아둔 아침뜨樂 안내 팻말도 있었지.

꺼내와 다시 써야할 곳 쓰고, 고칠 곳 고치고

그리고 달골에 올라가 자리마다 박아주었다.

아래 학교 작은 연못에서 나눠온 물상추와 부레옥잠도 밥못에 더해주고.

뜨樂을 나오다 보니 샘들이 바삐 일하다 두고 온 호미와 낫들, 거두어오다.

 

아침뜨樂을 걸어 나와 건너편 둘러친 산과 하늘을 본다.

저녁답에 이렇게 서 있는 걸 좋아한다.

혹 분노가 일거나 지친 날이기라도 하면,

달골에서 눈앞으로 펼쳐지는,

마을을 안고 둘러친 허리띠 같은 저녁이 내리는 산그림자에 날선 마음이 그만 누그러진다.

생에 무에 한 게 있다고 이런 호사를 누리는가 싶은.

피카소의 게르니카를 생각했다. 뜬금없이? 생각이 비약이거나 글이 지나친 도약이거나.

그 작품엔 색이 없다. 색도 편견이라 여겼기 때문이었다던가. 슬픔에는 색도 편견이다.

세상이 돌고 일이 일어나고,

물리적 거리가 있든 없든 세상은 나와, 내 삶과 무관하지 않게 흐른다.

사람들이 오고 사람들이 간다.

맞이하기 위해 할 일이 있고 보낸 뒤 갈무리가 있다.

하지만 일은 맞이하기 위해 할 일이 갈무리 뒤에 놓이기도 한다.

앞이 앞이어도 되고 뒤가 앞이어도 된다.

다 괜찮다. 왜? 사는 거니까. 내 삶이니까. 나는 나의 삶을 산다, 그뿐이다.

슬픔에만 색이 편견인 게 아니다. 슬픔은 슬픔이고 기쁨은 기쁨이고 색은 색이고

‘그냥’ ‘그런’ 거다. 일종의 담백함이라 해야 하나.

게르니카의 빈 색을 오늘 내 삶의 하루 저녁을 통해 본다.

우리의 실존은 절대 실패하지 않는다,

레베카 라인하르트의 책 어느 구석에서였다.

 

내일은 교장단(이랄 것까지는...) 모임 있어 맞이를 해야 하고,

바로 서울행.

꼭 순방으로 답방이 있는 건 아니지만.

연어의 날에 이생진 선생님 다녀가셨다.

달마다 마지막 쇠날에 있는 선생님의 인사동 시낭송회에

내일은 물꼬 식구들도 걸음하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694 2017. 8. 7.달날. 맑음 옥영경 2017-09-01 827
4693 2017. 7.23~ 8. 6.해~해날. 비 한 방울도 없던 맑음 / 우즈베키스탄에서 옥영경 2017-08-30 914
4692 2017. 7.21~22.쇠~흙날. 폭염 뒤 구름으로 잠시 숨통 옥영경 2017-08-30 878
4691 2017. 7.20.나무날. 쨍쨍, 그러나 말랐다고 못할. 폭염 옥영경 2017-08-30 830
4690 2017. 7.19.물날. 잠깐 볕 옥영경 2017-08-30 883
4689 2017. 7.18.불날. 갬, 폭염 / 흙집 보수공사와 지붕교체 시작 옥영경 2017-08-30 1163
4688 2017. 7.17.달날. 비 / 방송국 강연과 옥영경 2017-08-30 821
4687 7월 어른의 학교;물꼬 stay(7.14~16) 갈무리글 옥영경 2017-08-04 907
4686 [고침] 7월 ‘어른의 학교’ 닫는 날, 2017. 7.16.해날. 흐림 옥영경 2017-08-04 882
4685 7월 ‘어른의 학교’ 이튿날, 2017. 7.15.흙날. 오다 긋다 오다, 비 / "애썼어, 당신" 옥영경 2017-08-04 930
4684 7월 ‘어른의 학교’ 여는 날, 2017. 7.14.쇠날. 저녁 빗방울 / 미리와 미처 사이 옥영경 2017-08-04 867
4683 2017. 7.12~13.물~나무날. 습이 묻은 해 옥영경 2017-08-04 838
4682 2017. 7. 7~11.쇠~불날. 볕과 비와 / 지리산 언저리 2-노래 셋 옥영경 2017-08-02 873
4681 2017. 7. 7~11.쇠~불날. 볕과 비와 / 지리산 언저리 1-사람 옥영경 2017-08-02 1015
4680 2017. 7. 6.불날. 집중호우 몇 곳을 건너 / 맨발로 한 예술명상 옥영경 2017-08-02 944
4679 2017. 7. 4~5.불~물. 맑음 옥영경 2017-08-02 825
4678 2017. 7. 3.달날. 태풍 난마돌 / 내포 숲길 옥영경 2017-08-02 851
4677 2017. 7. 2.해날. 갬 / 되도 않는 멋내기 여행 말고 옥영경 2017-07-31 922
4676 2017. 7. 1.흙날. 구름 좀 / 스트라스부르 국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옥영경 2017-07-31 813
4675 2017. 6.30.쇠날. 소나기 / 인사동 시낭송, 그리고 청계천의 밤 옥영경 2017-07-31 98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