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1일 흙날 아무 일 없던 듯한 하늘

조회 수 1274 추천 수 0 2005.06.17 17:27:00

6월 11일 흙날 아무 일 없던 듯한 하늘

무엇이 착한 것일까요?
우리는 어떨 때 착하다고 하는 걸까요?
아이들에게 '호숫가 나무'에서 물었습니다.
"성실한 거요."
그런데, 사람을 해칠 물건을 만드는데 성과 실을 다하고 있는 이에게
우리는 착하다고 할 수 있는 걸까요?
"남이 하지 않는 일을 내가 하는 것."
"사람 죽이는 거, 그거 아무나 하는 거 아니잖아, 남이 안하는 일인 걸요?"
"다른 사람, 모두를 위해 남이 하지 않는 일을 내가 하는 거요."
그냥 착한 게 아니라, '전제'가 중요해집니다.
성실한 데 피해를 주지 않을 것,
기꺼이 나서서 하는 것, 내가 한 일이 아니더라도,
생명을 사랑하는 것, 그가 잘 살 수 있도록 살피고 배려하는 속에서,
행복을 주는 데 나중에 일어날 일을 생각하며 주는 것
(지금 달콤함을 주는 게 행복을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겝니다),
이런 식이 되는 거지요.
"지금 바로 여기에서 내 것을 쪼개 나누는 것."
"나 말고도 모두가 행복하기를 비는 것."
"그에게 정말 필요한가를 따지며 행복을 주는 것."
"세상을 평화롭게 도움이 되도록 사는 것."
얘기는 아주 자잘한 일상에서 출발하고 다시 일상으로 옵니다.
우리는 뜬구름을 잡고 싶은 게 아니니까,
무슨 좋은 어록집을 만들고 있는 게 아니니까,
당장 어떻게 움직일까 행동지침을 세우려는 거니까.
다시 처음처럼 묻지요.
"그런데 왜 착하게 살게 싶어 합니까?"
우리 모두 착하게 살고 싶어 하는 것에는 이의가 없었지요.
한 시간을 넘게 하고 있는 말들을 어떻게 몸에 붙일까 굳게 마음 다지며
서로가 서로 앞에서 약속을 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채규 선수,
약속 못한다지요.
"그러면 안착하게 살고 싶다는 거구나?"
"제가 언제 그랬어요?"
살살 갉아도 보지만 절대 약속은 할 수 없답니다.
"착하게 산대며?"
어느 지점에서 그리 공격할 줄을 아는 게지요.
때로는 내일을 모르고 미련하게 선에 대한 의지를 야무치게 가져보는 단순무식함이
'삶의 진정' 같기도 하다 싶습니다.
내가 내 말에 발목을 잡혀 좀 불리하게 되더라도.

아이들과 춤추러 나갔다 들어오니
밥알 식구들이 모여 온 학교를 뒤집어 놓고 있습디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14 물꼬가 병원을 기피(?)한다고 알려진 까닭 옥영경 2005-07-16 1225
613 7월 9일 흙날 비, 비 옥영경 2005-07-16 1217
612 7월 8일 쇠날 갬 옥영경 2005-07-16 1138
611 7월 7일 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5-07-16 1081
610 7월 6일 물날 장마 가운데 볕 옥영경 2005-07-16 1198
609 7월 5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5-07-16 1108
608 7월 4일 달날 끝없이 비 옥영경 2005-07-13 1218
607 7월 3일 해날 자꾸 비 옥영경 2005-07-13 1050
606 7월 2일 흙날 또 비 옥영경 2005-07-13 1101
605 7월 1일 쇠날 비 옥영경 2005-07-13 1063
604 6월 30일 나무날 갬 옥영경 2005-07-08 1161
603 6월 29일 물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05-07-08 1324
602 6월 28일 불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5-07-08 1110
601 6월 27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7-08 1160
600 계자 104 닫는 날, 6월 26일 해날 꾸물꾸물 옥영경 2005-07-08 1213
599 계자 104 이틀째, 6월 25일 흙날 덥기도 덥네요 옥영경 2005-07-08 1336
598 계자 104 여는 날, 6월 24일 쇠날 더운 여름 하루 옥영경 2005-07-08 1340
597 6월 23일 나무날 선들대는 바람에 숨통 턴 옥영경 2005-06-26 1617
596 6월 22일 물날 텁텁하게 더운 옥영경 2005-06-24 1250
595 6월 21일 불날 낮에 물 한 번 끼얹어야 했던 옥영경 2005-06-23 133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