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산마을 책방➀에 함께한 구성원들이 남긴 갈무리글입니다.

늘처럼 맞춤법은 틀리더라도 고치지 않았으며,

띄어쓰기도 가능한 한 원문대로 옮겼습니다.

다만 의미 전달이 어려운 경우엔 띄워주거나 컴퓨터가 저 알아 잡아준 맞춤법이거나.

괄호 안에 ‘*’표시가 있는 것은 옮긴이가 주(註)를 단 것.


사과와 만화는,

운동장 건너 커다란 전나무 세 그루 아래 사는 두 마리 개입니다.

데려오던 날 사과나무 아래 똥을 싸서 ‘사과’,

만화를 좋아하는 아이네서 와서 ‘만화’.



             --------------------------------------------------



네 살 이주영:

(* 그림: 엄마 글에다 그려준 사과, 강아지 사과 말고 먹는 사과)


1년 이수연:

(* 그림: 엄마와 아빠와 강아지 사과)


3년 이지윤:

(* 그림 1: 돌계단에 앉아 ‘강아지다’ 외치며 뒤를 돌아 사과와 만화를 보다.

그림 2: 멀리 있는 옥샘이 부르자 달려가는 옥샘하고 나)


김지현:

빈 그릇이 필요합니다.

작든 크든... 그 그릇이 비워지길 바랍니다.

그래야 그 안에 온전한 자신을 다시 담을 수 있으니까요.

다시 담을 때는... 그냥 ‘저’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내 아이의 ‘그대로’였으면 좋겠습니다.

그저 내 남편의 ‘본디’였으면 좋겠습니다.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스스로를 잊지 않을 수 있도록

물꼬에서의 소소한 일상과... 느리지만 꼭꼭 채워진 시간 시간을 담아갑니다.

(* 그림: 주영이가 그려준 사과)

물꼬 밖에서 힘이 들때면

다시 눈을 감고 떠올릴랍니다...

물꼬의 대문... 갑자기 확 펼쳐지는 잔디마당... 맛있는 가마솥방...

아침뜨락에서의 발걸음... 이곳의 시계...

물꼬의 문이 항상 열려있어 감사합니다.

2019. 8.18.

딸셋맘 김지현 올림


이중복:

바쁘게 살다 생각만 하고 잊고 지낸 것들이 많은데 그 중 하나를 한 거 같아서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시간이 멈춘 듯한 여유로움이 느껴져서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아이들과 보내는 행복한 추억을 많이 만들고 싶습니다.

2019. 8.18

물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2020. 7.14.불날. 장맛비 옥영경 2020-08-13 307
6493 2020. 7.29.물날. 창대비 옥영경 2020-08-13 307
6492 2021. 5. 2.해날. 갬 옥영경 2021-06-09 307
6491 2021. 5. 8.흙날. 안개인 줄 알았다, 미세먼지! 옥영경 2021-06-09 307
6490 2021.10.25.달날. 맑음 옥영경 2021-12-15 307
6489 2022. 7.15.쇠날. 가끔 먹구름 옥영경 2022-08-04 307
6488 2022. 7.17.해날. 흐림 옥영경 2022-08-04 307
6487 2022.10.25.불날. 맑음 옥영경 2022-11-12 307
6486 2023. 1.28.흙날. 눈발 옥영경 2023-02-27 307
6485 2023. 3. 5.해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07
6484 2023. 5. 6.흙날. 비 옥영경 2023-06-09 307
6483 2020. 5.13.물날. 맑음 옥영경 2020-08-08 308
6482 2020. 5.12.불날. 바람 많고 맑은 옥영경 2020-08-08 308
6481 2020. 7.10.쇠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0-08-13 308
6480 5월 빈들 여는 날, 2021. 5.28.쇠날. 소나기 지나는 오후 옥영경 2021-06-30 308
6479 2021. 7.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08-09 308
6478 2022. 3.17.나무날. 비 옥영경 2022-04-20 308
6477 2022. 5.28.흙날. 맑음 옥영경 2022-06-24 308
6476 2022. 7.16.흙날. 흐림 옥영경 2022-08-04 308
6475 2022. 7.20.물날. 갬 옥영경 2022-08-05 30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