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18.물날. 맑음 / NVC

조회 수 588 추천 수 0 2019.10.30 13:54:25


명절을 쇠고 학교아저씨도 오늘 복귀했다.

당신이 하는 가장 큰 일은 짐승들을 멕이는 일.

재작년에 닭장을 치운 뒤로 학교에는 개 두 마리만 남아있다.

그들의 똥도 제 때 치우지 않으면 똥밭이 된다,

뜯어보지 못한 우편물들이 쌓이듯.

사과와 만화의 밥을 챙겨주고 그들의 똥을 치우는 것으로 학교 일을 시작하셨다.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비폭력대화(NVC; nonviolent communication)를 배우고 일상에 쓰려고 애쓰는 엄마가

물어왔다.

삶이란 게 어떤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가가 내 삶인 듯.

사람 관계란 게 비언어적인 것도 있지만 많은 관계는 말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말이 중요하다.

가식적이지 않게 혹은 힘들지 않게 서로가 연결될 때 우리는 편안하다.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솔직하게 말하고 공감으로 듣고,

그렇게 가슴으로 연결되어야.

결국 우리의 행복은 소통을 잘하는 것과 비례한다 말할 수 있을.

그게 마음이 편하니까. 평화로우니까.

그런데, 대개 우리는 가까운 관계들에 상처 준다.

심지어 의식할 때조차 아내에게 남편에게 부모에게 아이에게 지인에게 상처를 입힌다.

누군들 그걸 진정 의도할까.

그러지 않자고 비폭력대화라든지 소통법들을 배우는 걸 게다.

특히 아이들과 잘 소통하기 위해.


질문을 해온 엄마가 전하는 말을 살핀다.

“어머님, 내 뜻으로 하고픈데 못하시는 거지?”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고 싶은데 잘 안 되고 있었던 거다.

가만 보면 우리가 소통을 위해 하는 공부들이 

사실은 저 하고 싶은 대로 하려는 의도. 

비폭력대화는 '관계'를 위한 것이다.

나만 좋은 게 아니라 나도 좋고 너도 좋은 길을 찾는 것.

솔직하게 자신의 마음을 말하고(상대를 공격하려는 게 아니라)

듣는 것 또한 상대가 비난을 해와도 그 마음 뒤에 있는 그의 말을 읽는 것.

그러니까 공감으로 듣는 것.

말을 할 때나 들을 때나 말이다.


1. 관찰-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지?

2. 느낌-거기서 내가 어떻게 느끼지?

3. 욕구-그 느낌이 어디서 오는가? 진짜로 내가 원하는 게 무엇이지?

4. 부탁-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찾고 난 뒤에 부탁하기.


비폭력대화도 인간관계론의 하나이다.

가슴에서 나와 질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

내가 필요한 것과 상대가 원하는 것을 동등하게 존중해야 한다.

해결 방법을 찾을 때 둘 다 즐거운 길을 찾는 것.

내 걸 얻기 위해 상대의 것을 무시하는 게 아니다.

상대의 것만을 돌보느라고 내 것을 포기하는 것도 또한 아니다.

양쪽을 동등하게!

서로 합의한 것에 나도 즐거운 마음에서 할 수 있는지,

의무가 아니라 나도 상대의 삶에 기여하는 흔쾌한 마음으로 할 수 있는지가 중요.

흔히 아이들에게 우리는 얼마나 쉽게 명령하는가,

옳음이라는 기준으로, 조언이라는 이름으로, 위한다는 명분으로!

“네가 괜찮다면!”, “괜찮아?”, “그래도 되겠니?”, ...

물어주어야 한다.

결국 둘 다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을 때까지 대화를 하는 것.

화백제도의 만장일치가 그런 것이었더랬다.

거수의 개념이 아니라 모두가 동의하는 길을 찾았던 것.


“이것이 비폭력대화의 언어인지 아닌지 하는 기준은요...”

이 말을 함으로써 그 사람과 연결 되는가 끊어지는가를 보면 된다.

그러자면, 그러니까 대화를 방해하는 것들을 제거해야할 테지.

판단하고 평가하고 비난하고 비하하고

강요하고 비교하고 당연시하고 책임을 부인하거나 한다면

우리는 가슴으로 연결된 대화를 할 수 없을 것.

상대와 잘 연결되는 대화를 하기, 그것이 비폭력대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54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➂ (2019.8.31~9.1) 갈무리글 옥영경 2019-10-12 604
5053 2019. 7.23.불날. 가끔 해 / “삶의 이치가 대견하다.” 옥영경 2019-08-22 605
5052 2020. 2.12.물날. 비 / There is time! 옥영경 2020-03-12 605
5051 2019. 7. 6.흙날. 가끔 해를 가리는 먹구름 / <플러그를 뽑은 사람들>(스코트 새비지/나무심는사람, 2003) 옥영경 2019-08-16 606
5050 2019. 7.24.물날. 가끔 해 / 깻잎 깻잎 깻잎 옥영경 2019-08-22 606
5049 2021. 9.21.불날. 비 내리다 오후 갬 / 한가위 보름달 옥영경 2021-11-18 606
5048 2019. 7. 2.불날. 맑음 / 날마다의 삶 속에 만나는 기적 옥영경 2019-08-14 607
5047 2020. 2.19.물날. 맑음 옥영경 2020-03-19 607
5046 2021. 6. 6.해날. 맑음 / 한계령-끝청-중청-봉정암-오세암-영시암-백담계곡, 20km 옥영경 2021-07-06 608
5045 2019. 8.14.물날. 하늘의 반은 먹구름을 인, 그리고 자정부터 시작하는 비 / 164 계자 부모님들과 통화 중 옥영경 2019-09-19 609
5044 2020. 3.18.물날. 맑음 옥영경 2020-04-13 609
5043 166 계자 이튿날, 2020. 8.10.달날. 비 옥영경 2020-08-14 609
5042 2019. 6. 6.나무날. 저녁, 비가 시작는다 옥영경 2019-08-04 610
5041 2019. 6. 8.흙날. 구름 조금 / 보은 취회 옥영경 2019-08-04 610
5040 2019. 9. 7.흙날. 13호 태풍 링링 지나간 옥영경 2019-10-16 610
5039 2019. 5.20.달날. 비 내리다 개고 흐림, 아침 거센 바람, 저녁 거친 바람 / 조현수님은 누구신가요? 옥영경 2019-07-20 611
5038 2019. 6.18.불날. 아주 가끔 무거운 구름 지나는 옥영경 2019-08-07 611
5037 2019. 5.30.나무날. 아주 조금씩 흐려가다 조용한 밤비 / 너의 고통 옥영경 2019-08-01 611
5036 2019. 6. 2.해날. 맑음 옥영경 2019-08-02 611
5035 2019. 7.19.쇠날. 밤, 태풍 지나는 옥영경 2019-08-17 6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