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엊그제 봄날 같은 아침이었다.

오늘 서리가 눈처럼 멧골을 덮었다.

 

여느 날 같은 아침수행이었다.

중등 임용고시 1차 시험이 있었다.

물꼬의 인연들도 여럿 시험장에 들어갔다.

아는 체 못했다, 부담이지 싶어. 다만 수행하며 기도했다.

수능도 머잖았다.

특히 한 아이 얼굴이 커다랗게 떠올랐다. 기도했다.

저녁수행으로 또한 다른 날 같은 걷기였다.

 

학교에는 은행이 많다.

밟힌 은행알 냄새가 학교를 흔들고, 종일 따라다닌다.

커다란 한 자루 쯤 씻고 말려 겨울에 잘 쓴다.

찾아온 이들과, 식구들끼리도, 아이들과 둘러앉아서도

낮이고 밤이고 구워먹는.

오늘은 수확한 호두와 은행 꾸러미를 물꼬의 큰 어르신 두 분께 보냈다.

지난주 만들어왔던 도자기 풍경을 꺼내 물고기 한 마리를 마저 색칠하고 엮었다.

오랜 학부모가 보내준 재봉틀도 작동을 확인했다.

1851년부터 있었던 Singer는 아직도 세계 1위 소리를 들을까.

100년도 전에 Singer 사가 만든 초기 재봉틀이 지금도 문제없이 굴러간다지.

망가지지를 않아서 새 제품이 팔리지 않았다던가.

윗실 끼우고, 작동해보고. 힘이 좋더라.

습이들 산책도 시키다. 제습이는 마을 주차장까지 진출하고, 가습이는 학교 뒤 댓마로.

 

설치미술에 대한 표절 논란이 있었다.꽃으로 탱크를 덮은, 2020 어린이시간예술축제 강원키즈트리엔날레 출품작 최정화의 그린 커넥션

이용백 자신의 2012년 작품 플라워 탱크를 표절했다는.

지난 10월 문제제기가 있었고,

오늘 또 기사가 올랐더라.

사진으로 두 작품을 보았더랬다.

두 작품이 비슷하다고 생각하기 전

나는 대번에 꽃을 쏘아 올리는 대포를 만들었던 티쭈를 떠올렸다.

1991년 민음사에서 나왔던 모리스 드리용의 <초록색 엄지소년 티쭈>.

아이들에게 서울 곳곳에서 글쓰기를 가르쳤던 1990년대에

그 책을 수업에서 느낌글을 쓰는 필독서로 활용했더랬다.

그린 커넥션은 현충원에 헌화한 꽃을 수거해서 만들었다는데,

최정화는 오랫동안 값싼 꽃으로 작업을 해왔다.

꽃과 탱크!

사실 그것은 퍽 보편적인 연상물이다.

그것은 평화를 말하는 세계 곳곳에서 등장한다.

그러니까 그 이미지는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던.

나만 해도 그것들을 보며 탱크의 총구에 꽃을 꽂은 티쭈를 떠올렸지 않나.

아름다운 들에서 개구리 한 마리가 예쁜 꽃을 즐기는 그림으로 시작하는,

글자가 한 자도 나오지 않는 니콜라이 포포프의 <?>(1999, 현암사)

전쟁이 어떻게 시작하고 무엇을 남기는지를 보여주는 위대한 그림책이었다.

그때의 꽃은 사소한 출발이라는 의미도 있겠고, 평화의 상징으로도 읽힌다.

굳이 이런저런 예라고 들먹이는 건 그만큼 보편성을 담고 있다는 말이고

그런 의미에서 표절이라 보기 어렵지 않느냐는 의견이다.

그런데 이 논란을 둘러싼 여러 진영, 혹은 여론이 몰아가는

표절에 대한 의견에서 보이는 폭력이 걱정스러웠다.

세밀하게 살피지 않고 몰아붙이는 공분, 그리고 남는 상처, 책임지지 않는 기사들,

이것 또한 우리 사회의 폭력적인 문화 한 자락이라는 생각에 말이 길었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494 2023. 9.27.물날. 부슬비 옥영경 2023-10-07 462
5493 2023.10. 6.쇠날. 맑음 옥영경 2023-10-23 462
5492 2023.12. 3.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462
5491 2024. 2. 7.물날. 어렴풋한 해 옥영경 2024-02-13 462
5490 2019 겨울 청계 닫는 날, 2019.12.22.해날. 갬 옥영경 2020-01-16 463
5489 2019.12.29.해날. 진눈깨비 날리는 저녁 옥영경 2020-01-17 463
5488 2022. 8.30.불날. 비 / 170계자 샘들 계자평가글을 읽다 옥영경 2022-09-13 463
5487 2023. 9. 9.흙날. 맑음 / 설악행 첫날 옥영경 2023-09-28 463
5486 2023. 9.14.나무날. 비 옥영경 2023-09-30 463
5485 2019.12. 8.해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464
5484 2020. 1.25.흙날. 잠깐 볕 옥영경 2020-03-03 464
5483 2020.10.19.달날. 맑음 / 대안교육백서에서 옥영경 2020-11-22 464
5482 2022. 1.17.달날. 밤 눈발 옥영경 2022-01-27 464
5481 170계자 닫는 날, 2022. 8.12.쇠날. 맑음 옥영경 2022-08-24 464
5480 9월 집중수행(9.3~4) 갈무리글 옥영경 2022-09-17 464
5479 2023.11.26.해날. 저녁비 / 김장 이튿날 옥영경 2023-12-05 464
5478 2024. 4. 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23 464
5477 2019.11.16.흙날. 맑음 / 오늘은 ‘내’ 눈치를 보겠다 옥영경 2020-01-08 465
5476 2019.12.11.물날. 맑음 / 대체로 희망 쪽이기로 옥영경 2020-01-13 465
5475 2020. 1. 4.흙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0-01-20 46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