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6.나무날. 잠깐 구름

조회 수 327 추천 수 0 2021.06.09 08:12:39


 

5월이 시작되면서 늦어도 아침 7시면 들에 가 있다.

밭이나 논이라는 말은 아니고 풀들 속으로.

세 시간여 움직이다 들어온다.

오늘은 달골 대문을 들어서는 마당에서

쑤욱 키가 자란 개망초며 질경이, , 꽃마리를 뽑았다.

토끼풀은 두기로 했다.

살리는 거면 꽃이고 뽑으면 풀이다.

학교에서는 학교아저씨가 아침저녁 예취기를 돌리는 중.

 

다 저녁에 맥문동 한 가마니가 왔다.

더러 여러 작업 현장에서 나오는 맥문동은

그것을 추리고 뿌리를 가르고 다듬는 게 더 일이어(인건비도 안 나온다고)

패 내서 버리고 말지 굳이 쓰겠다고들 하지 않는다고.

그거 저희 주면 좋겠어요!”

말을 뿌리면 씨앗이 맺힌다. 소문내야 한다.

그렇게 온 맥문동이었다.

아침뜨락 ()()에 심으면 좋겠다 싶었다.

키 낮은 것들을 심고 싶었으나 쉬 얻는 건 키가 멋대로들이었다.

그것마저 한 가지만 심겨진 것도 아니고

때에 따라 들어오는 걸 이어 심는.

옴 자 아래 3자 같은 부분만 해도

샤스타 데이지와 비트, 그리고 빈 공간이 있었다.

그 공간을 채울 것을 둘러보고 있던 참에 들어온 맥문동.

마침 키도 얼마나 적당한 그네인가.

땅을 패고 풀을 뽑았다.

그리고 햇발동 데크에 엉덩이를 걸치고 맥문동을 다듬기 시작했다.

차츰 어두워지고 있었다.

아직 못 다 했으나 더 깊이 어둡기 전에 손을 놓다.

심는 것까지 이 저녁에 하리라 했지만.

낼 아침에 이어 가리라.

제발! 어둑하도록, 밤늦도록 바깥일 좀 하지 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94 6월 15일, 야생 사슴과 우렁각시 옥영경 2004-06-19 1454
593 116 계자 나흗날, 2007. 1.10.물날. 검은 구름 가끔 지나고 옥영경 2007-01-15 1454
592 128 계자 닷샛날, 2009. 1. 1.나무날. 맑음 / 아구산 옥영경 2009-01-08 1454
591 물꼬에서 쓰는 동화 옥영경 2004-05-08 1455
590 손가락 풀기를 기다린 까닭 옥영경 2004-07-11 1455
589 126 계자 닷샛날, 2008. 8.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8-24 1455
588 2006.2.14.불날 / 2005학년도에 있었던 일련의 갈등에 대해서 옥영경 2006-02-15 1456
587 2006.2.27.달날 / 잡지 '민들레'를 읽고 옥영경 2006-02-28 1456
586 2006. 9. 7.나무날. 맑음 / 가을학기를 여는 산오름 옥영경 2006-09-18 1456
585 계자 96 세쨋날, 8월 4일 물날 옥영경 2004-08-08 1457
584 1월 26일 물날 맑음, 101 계자 셋째 날 옥영경 2005-01-28 1457
583 2008.11.14-16.쇠-해날. 더러 흐리고 바람 불고 / ‘빈들’ 모임 옥영경 2008-11-24 1457
582 11월 26일 쇠날 눈비, 덕유산 향적봉 1614m 옥영경 2004-12-02 1459
581 2007. 5.13.해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459
580 2007.12. 9.해날. 맑음 옥영경 2007-12-27 1459
579 8월 28-9일, 젊은 할아버지와 류옥하다 옥영경 2004-09-14 1460
578 112 계자 닷새째, 2006.8.11.쇠날. 맑음 옥영경 2006-08-17 1460
577 145 계자 닷샛날, 2011. 8. 4. 나무날. 흐린 하늘, 그리고 비 / 우리는 왜 산으로 갔는가 옥영경 2011-08-17 1460
576 2007. 9.23-24.해-달날. 비 내린 다음날 개다 옥영경 2007-10-05 1461
575 2007.11.23.쇠날. 구름 오가다 옥영경 2007-12-01 146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