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8.불날. 맑음

조회 수 346 추천 수 0 2022.04.04 05:51:36


달골의 음식물 발효통을 감나무 아래 쏟았다.

감이 맛나기로, 곱기로도 마을에서 손꼽히는 나무였는데,

늙고 부러진 가지가 많았다.

불과 재작년만 해도 달린 감이

가지를 다 떨구고도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선명한 주홍빛 한가득이었는데

작년에는 영 부실했다.

그가 힘이 났으면 좋겠다.

 

투표를 하러 갈 또 하나의 이유.

기표되지 않고 폐기될 투표용지 세로 27cm.

대선 유권자 4,400만 여명의 투표용지(100장 기준 두께 1cm)를 쌓으면 4,400m.

이를 한 줄로 이으면 11,880km, 서울 뉴욕간 거리.

투표해야 그나마 그 종이의 가치를 높일 수 있지 않겠는지.

투표합시다!

 

선거운동에 쓰인 저 현수막들을 다 어쩌나?

201719대 대선에서 현수막은 52545장이 쓰였고,

이듬해 '읍면동당 1'이었던 선거법이 2장으로 개정, 하여 이번 선거에 10만 장으로 짐작.

현수막은 폴리에스테르가 주성분. 묻는 것도 태우는 것도 쉽지 않다.

21대 총선 기준 재활용율 25%, 그마저도 결국 다른 모양의 쓰레기를 만드는 것에 불과.

선거 벽보, 공보물은 5000t.

그것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CO2e) 배출량은 7,312t에 달할 것으로 추정.

30년 된 소나무 803522그루가 1년 내내 흡수해야 하는 양이란다.

6월에는 지방선거가 있다.

홍보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2772t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다는 보고를 읽었다.

종이 공보물이나 플라스틱 현수막 등을 없애거나 줄이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통과 기약 없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 계류 중.

그런 쓰레기를 만드는 게 그나마 가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투표하기.

그리고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목소리내기.

 

손을 기다리는 밭에 학교아저씨가 혼자 들어가고 있는 이 봄의 여러 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34 2021.12.15.물날. 흐림 옥영경 2022-01-08 367
633 2021.11.21.해날. 흐림 옥영경 2021-12-24 367
632 2021. 3. 9.불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21-04-22 367
631 2024. 1.29.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2-11 366
630 10월 빈들모임(10.21~22) 갈무리글 옥영경 2022-11-12 366
629 2022. 6.24.쇠날. 오려다 만 비 옥영경 2022-07-13 366
628 2022. 6.10.쇠날. 해, 물기 있는 옥영경 2022-07-08 366
627 2022. 6. 5.해날. 비 / 보은취회 닫는 날 옥영경 2022-07-06 366
626 2021. 9. 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10-28 366
625 2021. 8.17.불날. 오후 두어 차례 살짝 흩뿌린 비 옥영경 2021-08-29 366
624 2021. 3.13.흙날. 갬 옥영경 2021-04-22 366
623 겨울 청계 닫는 날, 2020.12.27.해날. 흐리다 살짜쿵 비 지난 옥영경 2021-01-15 366
622 2020.10.11.해날. 흐릿 / 흙집 양변기 작업 시작 옥영경 2020-11-22 366
621 2020. 5.17.해날. 안개비 그치며 나온 해 옥영경 2020-08-10 366
620 2020. 4.24.쇠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66
619 2023. 7.23.해날. 비 옥영경 2023-08-05 365
618 2022. 8. 1.달날. 비 / 학교 갈 준비가 되었는가? 옥영경 2022-08-08 365
617 2022. 3.19.흙날. 눈 내린 대해리 옥영경 2022-04-20 365
616 2022. 2.23.물날. 맑음 / 우리는 그렇게 우리가(또한 각자가) 되었다 옥영경 2022-03-24 365
615 2022. 6. 4.흙날. 흐려가는 하늘 / ‘작은 약속을 위한 오직 한 걸음’ 옥영경 2022-07-06 36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