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28.불날. 맑음

조회 수 323 추천 수 0 2023.04.26 23:56:45


가마솥방 단풍나무 옮긴 자리 정리 중.

그 자리로 다른 어린 나무를 심어두나,

예컨대 사택 고추장집 앞의 명자나무라든가,

아니면 돌과 흙을 채우고 그 사이 돌단풍이라든지를 옮길까 가늠해보는.

 

틈틈이 한복 한 벌 짓고 있다.

주에 한 이틀 잡는가 보다.

그렇다고 주기적으로는 못하고.

오늘은 종일 바느질을 잡았다.

저고리 본으로 마름질을 하고 안감을 붙였다.

섶을 달고 고름도 만들어두었다.

드디어 안감을 뒤집었는데,

이런! 그제야 알았네. 앞판의 시접을 계산하지 않았던 거다.

앞판 두 장이 뒷판과 딱 맞아 떨어져야 하는데 말이다.

음, 다 뜯어야 하는가?

요리조리 돌려보며 궁리.

본을 가져다 옆선을 줄이고 아랫단 전체 곡선을 다시 잇는다.

그 본을 감에 대 그리고 옆선을 다시 다시 이어 재봉질.

어라! 하하, 깜쪽 같다. 저고리 모양이 말꿈해진 거다.

옆선이 줄어 치마말기가 보이기 쉽겠다 하겠지만

이걸 염두에 두었기라고 한 양 말기 아래를 치마의 같은 천으로 덮었던 바. 

나무를 다룰 때도 자신을 믿을 수 없어 두 세 차례 치수를 확인을 하지만

이런 일이 가끔 있다.

애초 한 번 굳어진 혹은 결정된 생각은 의심을 못하게 하는.

치수재기는 우리가 정신 차려야 함을 일깨워주는 바로미터라.


저고리가 꼴을 갖추자 자신이 기특해진다.

뿌듯함!

이런 작은 일로도 자신을 고무시킬 수 있다.

작은 성공에 대한 경험이 쌓이면 자신감이 된다.

우리가 특히 특수교육에서 장애아들에게 힘을 쏟는 그것.
그대도 작은 일로 기쁜 삶이시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74 2024. 1.21.해날. 비 옥영경 2024-02-07 415
6573 2024. 1.20.흙날. 비 / 발해1300호 26주기 추모제 옥영경 2024-01-30 510
6572 2024. 1.19.쇠날. 흐림 / 문바위 옥영경 2024-01-29 411
6571 2024. 1.18.나무날. 비 옥영경 2024-01-29 406
6570 2024. 1.17.물날. 비 옥영경 2024-01-29 394
6569 2024. 1.16.불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406
6568 2024. 1.15.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93
6567 2024.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442
6566 2024. 1.13.흙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433
6565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622
6564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617
6563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491
6562 173계자 나흗날, 2024. 1.10.물날. 구름에 살짝 걸린 해 옥영경 2024-01-13 460
6561 173계자 사흗날, 2024. 1. 9.불날. 흐림 옥영경 2024-01-11 551
6560 173계자 이튿날, 2024.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10 576
6559 173계자 여는 날, 2024. 1. 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09 838
6558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581
6557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529
6556 2024. 1. 4.나무날. 새벽 싸락눈 옥영경 2024-01-08 630
6555 2024. 1. 3.물날. 눈 / 계자 사전 통화 옥영경 2024-01-08 46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