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도 꽃도 걸음을 서두르는데

사람 손은 저만치 뒤에 있다.

지나간 겨울 꽃밭의 낙엽들을 긁어내며 봄을 보낸다.

 

생강나무 피고 산수유 피고 매화 피고,

다음으로 진달래 피어나고 개나리 오고 목련 피고 벚꽃 터뜨릴 터인데,

달포 안에 차례로 필 꽃들이 한 주 안에 우르르 다 피어올랐다.

기후위기는 그렇게 또 우리 앞에 상황을 펼친다.

생태학적 문제는 거기 의존하며 사는 존재들의 어려움을 부른다.

꽃에 의존하는 곤충들이 어렵고,

그 곤충을 먹고 새는 새의 삶이 어렵고,

몇 년 전부터 꿀벌들의 삶이 표나게 그러했다.

꿀벌이나 새가 없으면 자연수분이 어렵고, 그러면 나무가 열매를 맺기 어렵고...

닥친 위기라지만

차례로 피어도 좋고 같이 다 피어도 좋은, 보는 눈 즐겁기는 매한가지.

(아직까지는) 잊지 않고 피어나서 고맙다!

그것은 있지 않고 피어나도록이나마 도와보겠다는 의지의 문장이기도 할 거라.

 

왜들 뭘 잘하려 하는 걸까요?”

청년이 물었다.

잘하는 게 좋으니까.”

왜 좋은 걸까요? 잘난 체 좀 하려는 거 아닐가요? 왜들 그렇게 잘난 체를 못해서 안달일까요?”

그런 욕망이 없지도 않겠지.

그것만이 다가 아닐 것.

무언가를 잘한다는 건 오래 익혔다는 말.

익어서 그걸 해도 편하다는 말.

그리하여 하는 나도 편코 보는 너도 편코.

결국 자연스럽다는 것.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도 소리를 하는 것도 춤을 추는 것도 다, 다 그런 일일 테다.

잘 해야겠다는(기능도 삶도) 생각이 간절해지는 밤. 

 

내일은 해남 달마고도 둘레길을 걷는 일정을 앞두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238 2022. 7. 6.물날. 후덥한 속에 몇 방울 소나기 옥영경 2022-07-29 354
6237 2022.10.2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2-11-11 354
6236 2023. 5. 3.물날. 맑음 옥영경 2023-06-08 354
6235 5월 빈들 여는 날, 2023. 5.26.쇠날. 맑음 옥영경 2023-07-13 354
6234 2023. 6. 7.물날. 맑음 옥영경 2023-07-20 354
6233 2020.11. 7.흙날. 맑음 / 땔감 옥영경 2020-12-15 355
6232 2021. 3.28.해날. 갬 옥영경 2021-05-05 355
6231 2021. 6.14.달날. 흐림 옥영경 2021-07-07 355
6230 2021. 6.1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7-10 355
6229 2021. 7. 5.달날. 시작된 장맛비 옥영경 2021-08-03 355
6228 2021. 9.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11-21 355
6227 2022. 4.29.쇠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55
6226 2022. 6.19.해날. 맑음 옥영경 2022-07-09 355
6225 2022. 6.21.불날. 가끔 먹구름 드리우는 옥영경 2022-07-11 355
6224 2022 겨울 청계 닫는 날, 2022.12.25.해날, 맑음 옥영경 2023-01-06 355
6223 빈들 닫는 날, 2020. 4.26.해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56
6222 2020. 7.10.쇠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0-08-13 356
6221 2021. 5.25.불날. 장대비 내린 뒤 긋다 옥영경 2021-06-22 356
6220 2022. 2.15.불날. 흩날리는 눈 옥영경 2022-03-24 356
6219 2022. 3. 8.불날. 맑음 옥영경 2022-04-04 35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