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9.해날. 맑음

조회 수 309 추천 수 0 2023.05.09 23:45:22


아침뜨락에 들때면 목장갑을 챙겨야 한다.

이곳의 걸음이 대개 그러하다.

가는 길에 풀 하나라로 뽑게 되고

늘 일이 줄 서 있으므로.

간 걸음으로 뭔가를 하게 되는.

학교에서 일전에 얼마의 날 간격으로 청희단풍 둘을 달못 위로 옮겨 심고 보니

파낸 구덩이에서 나온 돌이 굴러다녔다.

일할 때, 또 이튿날도 살피고 주웠으나

마치 하지 않았던 일 마냥 돌은 또 모습을 드러내고.

그것들을 주워다 아가미길 가장 자리 작은 돌담에 얹고,

대나무 수로를 치고,

뽕나무 아래 넘어진 난나를 일으켜 자리를 잡아주고,

달못 너머로 가서

벌써 한 차례 마을 어르신이 훑고 나간 뒤 며칠이 흘러

오르고 있는 댓 그루 참두릅을 따내고.

 

6월 초순에 담양에서 중국 황궁다법 시연을 할 계획이라고 하자

중국 황궁다법들을 물었다.

그간 물꼬에서, 또 몇 곳의 차 축제에 초대받아 시연을 해왔다.

소림사 무예와 중국 황궁다법을 지녔던 허주당 보원스님의

생전 마지막 제자가 물꼬에 있었더라.

2015127일 원적(법락 56, 세수 75)에 드신 스님으로부터

그 전해 1월에 만나 주에 한 차례 몇 달을 다법을 배웠다.

당신 세 살 때 삼촌 화엄대사를 따라 대만에서 건너와

열여덟에 해인사에서 출가를 했고,

1998년부터 경주 보림선원에서 소림쿵푸와 한국 다례, 중국 황궁다법을 전수.

 

중국 황궁다법에 소림사 쿵푸 품새가 섞인 건 익히 알려진 일다.

당나라 2대 황제 이세민이 사지에서 소림사 승려들의 도움으로 살아났고,

그 고마움을 표한 5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금색의 승복 착용을 허락한 것.

소림사 승려들이 황제와 같은 황금색 복장을 입을 수 있었던 까닭이었다.

그들은 이세민 호위승으로 대우를 받고

전래의 황실 차문화까지 공유했.(이세민을 위해 소림승들이 개발한 다법이라고도 함)

청일 전쟁에 지면서 황궁다법도 쇠락한다.

그나마 이어진 맥도 1960년대 문화대혁명기를 거치며 사라졌다는데,

그 한 흐름이 1943년 한국으로 흘러들어와 서울 청파동에 자리 잡았던 화엄대사.

그의 조카가 소림사 쿵푸와 황궁다법 기능을 이어받았던 것.

바로 허주(법호)스님.

 

황궁다법은 크게 세 종류(다해작법, 개완작법, 문향품명배 작법)가 있다.

물꼬에서 하는 황궁다법은 다해작법과 문향품명배 작법 일부를 더해 약 30분간 집전.

그 시작은 검지에 물을 묻혀 잔의 테두리를 돌려 청음을 피워 올리는 향배 돌리기.

잔 이동, 찻받침 이동, 배사를 써서 잔 씻기, 주수자 다루기, 차호 씻기, 차 넣기, 차 우려내기,

마지막으로 문향품명배로 향을 맡고 차를 마시는 동작으로 갈무리.

옷은, 팽주는 노란색, 좌우 집사인 사령은 붉은색 치파오를 입는다.

 

코로나19를 건너 곳곳에서 봇물처럼 축제들이 터지고 있다.

다법 시연을 손꼽아 기다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54 2007. 6.22.쇠날. 비 내리다 오후 갬 옥영경 2007-07-02 1886
6453 11월 3일 물날 쪼금 흐림 옥영경 2004-11-13 1879
6452 97 계자 네쨋날, 8월 12일 나무날 옥영경 2004-08-14 1877
6451 8월 5-8일 이은영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10 1876
6450 9월 16일, 바깥샘 도재모샘과 오태석샘 옥영경 2004-09-21 1873
6449 39 계자 열흘째 2월 4일 옥영경 2004-02-05 1847
6448 9월 26-8일, 방문자 권호정님 옥영경 2004-09-28 1838
6447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27
6446 97 계자 닷새째, 8월 13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08-15 1826
6445 학교 문 여는 날 무대 오르실 분들 옥영경 2004-03-24 1820
6444 2015 여름, 160 계자(8.2~7) 갈무리글 옥영경 2015-08-13 1817
6443 3월 21-2일 주말 옥영경 2004-03-24 1812
6442 2월 28-9일 : 영화 보다 옥영경 2004-03-04 1812
6441 가족 들살이 하다 옥영경 2004-02-20 1810
6440 2007.12.14.쇠날. 맑음 /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 옥영경 2007-12-29 1807
6439 5월 5일, 우리들의 어린이날 옥영경 2004-05-07 1807
6438 박득현님 옥영경 2004-01-06 1802
6437 6월 19일, 월남쌈 옥영경 2004-07-03 1801
6436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798
6435 116 계자 닷샛날, 2007. 1.11.나무날 / 바우산 옥영경 2007-01-16 179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