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황궁다법 시연이 있었고,

오늘은 소리(판소리)가 있었다.

강천산 폭포 아래 누각이었다.

객석이 정해진 건 아니었고, 공원에 오거나 산오름을 하러 든 이들이 관객이었다.

지난달에 이어 벌써 두 번째 걸음.

정기공연을 하자는 이야기가 오고가는 중.

하늘 흐려가고 멀리서 천둥쳤다.

비가 들지는 않았다.

소리한다고 공원 들머리에서 차량을 통과시켜준 덕에 편히 오갔다.

수좌암 바위굴에 들어 명상도 하고,

바위에 붙어 수행할 시간도 있었다.

동행한 분 가운데 한 분,

재촉할 만도 하고 채근할 만도 하련만

다른 이들이 모든 움직임을 끝낼 때까지 기다리고 있었다.

지난봄부터 달에 두어 차례 같이 움직이며 보았는데, 그는 번번이 그랬다.

눈에 들었다. 고마웠다.

 

대해리 들어서니 비가 내리고 있었다.

바람도 제법 두터웠다.

광주 담양을 지났다고 죽순이 차에 실려 왔다.

지난주에 소리하는 이들이 그걸 발로 꺾는 법을 잘 가르쳐주었던.

이 멧골에서 가느다란 죽순만 봐왔던 내겐

시커멓고 굵고 큰 죽순이 신세계였다.

작정하고 오늘은 대밭에 들어 죽순을 한아름 안고 나왔더라.

껍집을 하나하나 벗기지 않고 칼로 일자로 그어 한 번에 벗기는 법도 배웠고,

세 부분 정도로 잘라 쓰임에 따라 데치는 법도 알았네.

소금물 넣어 20여 분 삶은 뒤 찬물에 담가 아린 맛을 뺐다.

(나중에 생각해보니 잘라서 데쳐도 되겠더만)

당장 들깨가루 넣고 찬을 만들어두고,

나머지는 잘라 몇 덩어리로 나눠 냉동실에 넣었다.

연어의 날에는 쓸 나물들이 있으니

이건 계자 때 어느 한 끼 찬거리로.

, 지난번엔 된장 풀어 찌개로도 좋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394 2006.5.27-6.4. / 찔레꽃방학 옥영경 2006-05-27 1704
6393 12월 9일, 류기락샘 잠시 귀국 옥영경 2004-12-10 1704
6392 4월 27일 물날 벌써 뙤약볕 옥영경 2005-04-29 1702
6391 6월 30일, 잠시 부엌샘 장한나샘 옥영경 2004-07-11 1702
6390 105 계자 나흘째, 8월 4일 나무날 빨래를 부지런히 말리지요 옥영경 2005-08-09 1701
6389 1월 2일 해날 구름 조금 낌 옥영경 2005-01-03 1699
6388 8월 21-9일, 공동체 식구들의 여행 옥영경 2004-08-25 1698
6387 2007.11. 5.달날. 오후, 고개 숙인 볕 옥영경 2007-11-13 1696
6386 96 계자 네쨋날, 8월 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8-09 1694
6385 2007.11.21.물날. 새벽 눈비 옥영경 2007-12-01 1693
6384 6월 22일, 훤한 고구마밭 옥영경 2004-07-04 1687
6383 4월 22일 나무날, 봄에 떠나는 곰사냥 옥영경 2004-05-03 1687
6382 12월 6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4-12-10 1680
6381 12월 18-9일, 뒤집힌 건물 안들 옥영경 2004-12-22 1679
6380 2005년 1월 1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676
6379 2010.1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0-12-12 1675
6378 2007. 3. 2.쇠날. 비 옥영경 2007-03-10 1675
6377 12월 2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4-12-03 1672
6376 119 계자 여는 날, 2007. 7.29.해날. 소나기 옥영경 2007-07-31 1671
6375 2006.2.11. 잡지 '민들레'로부터 온 메일 옥영경 2006-02-13 167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