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30.쇠날. 비

조회 수 498 추천 수 0 2023.07.31 14:14:25


비교적 온건한 채식주의자라고 해야 하나.

고기를 먹지 않지만, 해산물을 좋아한다.

새우를 잘 먹는다

굳이 애써서 찾아 먹지는 않아도,

골라야 할 상황이면 새우를 고른다.

, 그 새우 이제 먹기 어렵겠다.

좋아하는 아보카도를 가능한 안 먹겠다고 선언하고 10,

단일 재배 작물인 아보카도는 토양에 영양분이 적고 질병에 취약하니

더 많은 살충제와 비료를 쓰게 되고 결국 땅을 황폐화시키는 걸 알게 된 뒤였다.

새우만 해도, , 그 눈을 없애고 있었다니!

내가 모르는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을 것이냐.

사람 사는 게 무에 이러냐!

 

국제동물보호단체 페타(PETA)의 보고서를 들었다.

양식장에 갇힌 암컷 새우는 기괴한 방식으로 눈이 잘린다.

칼날로 한쪽 또는 양쪽 눈을 절단하거나

눈자루 주위에 철사를 묶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게 한다.

눈자루는 갑각류의 머리 부분에 돌출하여

끝 쪽에서 겹눈을 달고 있는 막대 모양의 시각 신경 다발.

새우 눈 뒤에는 번식과 관련된 분비선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알을 낳지 않도록 하는 번식 억제 호르몬이 나온다고.

비좁은 공장식 양식장은 새우조차 번식을 꺼리는 거다.

암컷 새우의 눈을 잘라내고 번식 조절기능을 앗기 위해, 더 많은 새우를 위해,

새우 양식으로 유명한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만이 아니라

호주 중남미에서도 이것이 관행이라고.

눈이 잘린 암컷 새우가 낳은 새우들은 질병에 더 취약하고,

눈을 잃은 새우는

번식 조절 능력과 시각뿐 아니라 세계를 받아들이는 다양한 감각까지 한꺼번에 잃고.

눈이 잘린 새우가 방향 감각을 잃고, 절단 부위를 분지르는 등

고통을 느끼는 행동을 보이는 것을 관찰했다는 보고(멕시코 국립과학기술교육원)도 있었다.

양식장을 짓기 위해 숲을 파괴하고,

새우의 사료를 대기 위해 저인망 어업도 횡행하고,

새우 양식 산업으로 토지 부족, 식수오염, 인신매매나 노동 착취와 같은 사회적 문제까지 발생.

그래서?

새우 소비량을 줄여야,

당장은 새우 눈을 자르는 것부터 중단해야!

적어도 새우가 고통 속에 살다 죽는 것은 막고 싶다.

이런 끝에는 늘 무엇을 먹어야 하나,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나로 이어지는 질문들 앞에 선다...

 

 

비 덕에 쉬엄쉬엄 학교 일,

교무실에서 메일 몇 답을 하고,

7월 일정을 점검하다.

안에서는 끊임없이 풀을 잡고 또 잡을 테고.

대개는 계자를 준비하는 시간이 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74 2022.10.19.물날. 맑음 옥영경 2022-11-11 316
6573 2022.11.19.흙날. 맑음 옥영경 2022-12-16 316
6572 2022.12. 6.불날. 눈발 옥영경 2022-12-29 316
6571 2023. 1.24.불날. 싸락눈 내린 새벽 옥영경 2023-02-27 316
6570 2023. 1.30.달날. 맑음 / 경옥고 첫날 옥영경 2023-03-03 316
6569 2021. 5. 8.흙날. 안개인 줄 알았다, 미세먼지! 옥영경 2021-06-09 317
6568 2021.10. 9~10.흙~해날. 갠 아침이었으나 흐린 오후. 이튿날 역시 옥영경 2021-12-08 317
6567 2021.10.25.달날. 맑음 옥영경 2021-12-15 317
6566 2022. 3.17.나무날. 비 옥영경 2022-04-20 317
6565 2022.10.25.불날. 맑음 옥영경 2022-11-12 317
6564 2020. 5.13.물날. 맑음 옥영경 2020-08-08 318
6563 2020. 5.16.흙날. 갬 옥영경 2020-08-10 318
6562 2020. 5.2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8-12 318
6561 2020. 7.17.쇠날. 옥영경 2020-08-13 318
6560 2021. 5. 7.쇠날. 맑음 옥영경 2021-06-09 318
6559 2021. 7.22.나무날. 살짝 그늘진 오후 옥영경 2021-08-09 318
6558 2021.10.11.달날. 비 옥영경 2021-12-08 318
6557 2022. 7.17.해날. 흐림 옥영경 2022-08-04 318
6556 2022. 8.23.불날. 비 옥영경 2022-09-07 318
6555 2022.11. 3.나무날. 맑음 / 시도 옥영경 2022-11-28 31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