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사인을 받으러 온 이가 있었다: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아이 다섯을 키우는 부부였다. 요새 보기 쉽잖은.

둘 다 음악을 하고 있었다.

대단히 까칠한 남편에 매우 부드러운 아내였다.

아내의 부탁으로 들고 온 책이었다.

저는 **(아내분) 숟가락만 먹어요. (자신의)애들 침 묻은 숟가락도 안 먹어요.”

친구 없으시지요?”

농을 했는데, 정말 친구라고 아내가 다였다.

차를 달였다.

그가 들려준 이야기 두엇이 퍽 인상 깊었다.

누군가의 이야기를 읽었다던가 자신의 생각이라던가,

트라우마는 남성에게는 그것을 통해 성장케 하고,

여성은 더 침잠하게(, 딱 이 낱말은 아니었는데...) 만든단다.

그래서 여성은 나쁜 일을 겪지 않게 보호해주어야 한다는.

자신의 아내도 그래서 절대적으로 지켜주고자 한다고.

아내에 대한 사랑은 다음 이야기로도 이어졌다.

저는 천국을 믿는 사람인데, ...”

천국이란 곳이 아름답지만 이 세상의 연장은 아닐 거다,

이 지상에서 아내였던 이가 아내이고, 남편이 남편인 그런 관계가 배치되는 건 아닐 거다,

그런 의미에서 이 지상에서의 관계는 이 지상에서 끝나는 것 아니겠는가,

그래서 내가 사랑하는 이를 이 생에서 보는 게 전부일지 모르고,

그래서 아내를, 다시 못볼 아내를 사랑하고 또 사랑하겠노라는.

내 언어로 말하고 있어서 그가 한 말과는 차이가 있겠으나

내용은 대략 그러했던.

다음을 기약하며 미루지 않고 지금 오직 최선을 다해 만나겠다, 그리 들렸다.

사랑이야말로 나중으로 미룰 일이 아닐!

 

강릉의 한 책방에서 하기로 한 강연(북토크가 되었다)은 일단 날짜만 협의해놓다; 7.22.흙날

작년에 낸 책(<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을 중심으로.

그럼 어른의 학교도 같은 때로 날을 조율들을 해야겠네.

이번 해에 달에 한 차례, 봄학기 가을학기 그곳에서 세 차례씩 하기로 어른의 학교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434 손가락 풀기를 기다린 까닭 옥영경 2004-07-11 1449
6433 7월 1일, 오늘은 무엇으로 고마웠는가 옥영경 2004-07-13 1433
6432 7월 2일, 우리는 동료입니다! 옥영경 2004-07-13 1468
6431 7월 2일, 그룹 <포도밭> 옥영경 2004-07-13 1424
6430 7월 2-3일, 안동출장 옥영경 2004-07-13 1516
6429 7월 3-4일, 지나샘 옥영경 2004-07-13 1516
6428 7월 4일, 우리는 옥영경 2004-07-13 1373
6427 7월 5일, 매듭공장 그리고 옥영경 2004-07-13 1413
6426 6월 22일 기록에서 빼먹은 옥영경 2004-07-15 1588
6425 7월 5일, 우리 아이들의 꿈 옥영경 2004-07-15 1492
6424 7월 6일, 고추밭 옥영경 2004-07-15 1500
6423 7월 6일, 감자밭 옥영경 2004-07-15 1330
6422 7월 6일, 넉넉함이 넉넉함을 부른다 옥영경 2004-07-15 1297
6421 7월 7일, 존재들의 삶은 계속된다 옥영경 2004-07-15 1415
6420 7월 8일, 새로운 후식 옥영경 2004-07-15 1345
6419 7월 8일, 그게 뭐가 중요해 옥영경 2004-07-15 1533
6418 7월 8일, 요구르트 아줌마 옥영경 2004-07-19 2564
6417 7월 8일, 마루 앞에 나와 앉아 옥영경 2004-07-19 1346
6416 7월 8일, 어른 없는 건 누구라도 좋다 옥영경 2004-07-19 1375
6415 7월 8일, 용주샘 전공을 살려 옥영경 2004-07-19 151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