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많았는데, 다행히 우산도 없이 비를 잘 피해 다녔네. 고마워라.

건물과 건물로 이동하거나, 지하로 가거나 기차를 타거나, 또는 비가 긋거나.

이른 아침 연못 둘레 풀을 뽑고 서둘러 길을 나섰더랬다.

역까지 차를 몰아 서울행 기차에 오르다.

상급병원을 갈 일이 있었더라, 아픈 거 아니고 살펴보러.

막차를 타고 내려올.

 

역에서였다.

내린 사람들이 밀려들어오고,

떠나는 사람들이 역으로 빨려 들어가는 현장.

나오던 누군가 반가이 달려왔다. 심지어 내 손을 맞잡네.

, 지방의 한 대학 분인 건 맞는가 싶은데,

도무지 누군지를 모르겠다.

하지만 누구시냐 묻기에는 몰라서 안 될 분 같았다.

내가 몰라봐서 안 되는, 뭔가 신세를 졌거나 매우 가까웠거나...

기차를 타고 자리에 앉았을 때 스쳐 지나는 게 있었다.

요새는 세상이 좋아 인터넷으로 확인을 할 수 있지.

, 무려 나랑 몇 해를 주에 서너 차례 마주한 분이었다.

어떻게 그리 깡그리 잊을 수가 있단 말인가.

까닭의 하나는 그의 외모가 너무 달라졌기 때문이기도 했을.

얼굴의 각이 좀 사라졌고,

아줌마스럽다(?)고 할 빠글 머리가 긴 물결 머리로 변해 있었고,

입고 있는 옷이 훨씬 세련됐고(뭐 잘 모르겠지만),

두툼한 도수 높은 안경을 벗고 있었다.

 

그를 잊은 더한 이유가 있을 수도 있겠네.

우리는 한 배움터에서 같은 구성원이었는데,

강의자와 수강생이라는 관계이기도,

거기 말도 안 되게 아랫사람을 비하하고 착취하는 못돼먹은 한 사람 있었는데

(돌이켜보면 그도 어려서, 잘 몰라서, 서툴러서 그랬을 수 있었다),

내가 그간 쌓았던 건 포기하는 걸 감수하고(결국 포기하지는 않아도 되었지만)

그에게 들이받은 일이 있었다.

그리고 얼마쯤 그 공간이 개선된 바 있었던.

그 당시 오늘 만난 그 분이 그 공간 책임자였던 거라.

그곳을 떠나온 뒤 내 기억에서 딱 벽을 치고 그 시절을 저 먼 곳으로 보내버린,

다시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공간으로 밀쳐두었던.

다시 꺼낼 일 없었던. 그곳 사람들과 만날 접점도 없었고.

아주 잊힌 기억이 돼버린 거다.

 

그런데, 그때 나는, 나 역시 10년도 훨씬 더 젊은 때였고,

어리지 않았지만 어른이랄 수는 없었을 그때,

나는 문제보다 사람과 싸우지 않았던가 싶다.

그래서 더 흥분했고, 그래서 더 미워했던.

시간이 흘렀다.

그 싸우는 마음에 대해 생각한다.

그리고 한 젊은 친구에게 보내는 문자 끝에,

자꾸만 세상과 혹은 사람과 부딪혀 힘든 그에게 나는 오늘 이리 썼더라.

사람이랑 싸우지 말고 문제랑 싸우시라!’

 

올라가는 기차에서 옆자리 젊은 처자를 만나 수다가 길었다.

대개 내게 기차를 타는 시간은

책을 읽거나 자거나 손에 잡은 일거리(바느질이거나 인형 몸통 솜을 넣거나)를 하거나.

모르는 옆 사람과 그리 말을 섞지 않는 건

코로나가 남긴 풍경이기도 하겠고, 요새 분위기인 듯도,

다들 손전화가 있으니까.

그는 마침 임용을 준비하는 사범대 졸업생이었고,

그래서 아이들에 대해 가르치는 것에 대해

그리고 세상에 대한 자세에 대하여 얘기 나누다.

대전에 거주하지만 집도 마침 영동권.

읍내를 기준으로 물꼬랑 완전 반대편이긴 하나

물꼬에서 같이 아이들을 만나는 날도 온다면 좋을.

 

검사 결과를 보기 위해 다음 내원 예약을 잡는데

2주 뒤 오라고.

한 달 뒤 갈 수 있겠다 하면서 그랬지.

,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 병원에서 연락주지 않겠어요?”

그런데 접수창구 직원의 단호한 말,

아니요. 아무도, 절대 아무도 안 해요!”

? 그래야는 거 아님?

문제가 있는 심각한 병인데도 방문을 하지 않으면 알려주지 않는다 건 말이 안 되지!

시스템이란 게 그런 모양이다.

그래서도 주치의 제도를 찬성하는 바임!

(다행히 병원에서 일하는 가족이 있어, 대리처방이 가능해 서류를 내기는 하였다만)

 

여담 하나.

오래전 물꼬 바깥식구 하나에게 간을 기증하겠다고 나섰던 적 있었다.

그때 방문한 장기기증센터가 이 병원이었네.

사람도 돌고 돌아 만나고,

공간도 그리 또 돌아서 돌아서 보게 되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34 운동장 또 한 겹 입히다, 4월 13-14일 옥영경 2004-04-27 1487
6533 4월 14일 물날, 김태섭샘과 송샘과 영동대 레저스포츠학과 옥영경 2004-04-27 1680
6532 4월 15일 나무날 총선 투표하고 옥영경 2004-04-28 1472
6531 4월 16일 쇠날, 황성원샘 다녀가다 옥영경 2004-04-28 1431
6530 4월 15-17일 처마 껍질 옥영경 2004-04-28 1497
6529 4월 17일 흙날, 황갑진샘 옥영경 2004-04-28 1562
6528 물꼬 노가대, 4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4-28 1623
6527 품앗이 최재희샘과 그의 언니네, 4월 17일 옥영경 2004-04-28 1528
6526 4월 18일 해날, 소문내기 두 번째 옥영경 2004-04-28 1377
6525 4월 19일 달날 아이들 집 댓말로 바꾸다 옥영경 2004-04-28 1489
6524 4월 20일 불날 잔치 앞두고 옥영경 2004-04-28 1483
6523 4월 21일 문열던 날 풍경 - 하나 옥영경 2004-04-28 1591
6522 4월 21일 문 열던 날 풍경 - 둘 옥영경 2004-04-28 1473
6521 4월 21일 문 열던 날 풍경 - 셋 옥영경 2004-04-28 1594
6520 4월 21일 문 열던 날 풍경 - 넷 옥영경 2004-04-28 2308
6519 4월 22일 나무날, 봄에 떠나는 곰사냥 옥영경 2004-05-03 1719
6518 처음 식구들만 맞은 봄학기 첫 해날, 4월 25일 옥영경 2004-05-03 2216
6517 5월 2일, 룡천역 폭발 사고를 놓고 옥영경 2004-05-07 1555
6516 5월 2일 해날, 일탈 옥영경 2004-05-07 1513
6515 5월 4일, 즐거이 일하는 법 옥영경 2004-05-07 15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