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짱짱해서 고마웠다, 계속 젖은 날들이더니.

덕분에 움직이기 좋았다.

이른 오후 한 때 맑은 하늘에 소나기야 지났다만.

주말에 청계가 있어 기숙사 청소.

이른 아침부터 햇발동 창고동 볕들이고 바람 들이려고도 하던 참.

 

가마솥방 청소를 하고 늦은 낮밥을 먹은 뒤

3시부터 기제 음식을 장만하다.

나의 제사 이야기라고 쓴다.

집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물꼬가 집이니

밥도 물꼬 가마솥방에서 먹으니.

자주 하는 일이 아니고, 해오던 일도 아니라, 기억을 위해서도 기록한다.

제사 모셨다.

결론부터! 뭐랄까, 새로운 인연이 닿는 느낌? 보지 못한 분들이니...

사람이 한 생을 살고

누군가를 기리는 일이(혹은 추모 받는 일이) 깊디 깊은 사람의 일이다 싶은

큰 감동이 있었다.

어찌어찌 하여 올해부터 일곱 형제 가운데 막내(남녀 쌍둥이)가 집안 제사를 모시게 되었는데,

뭐 막내며느리인 내가 나서게 된.

모시던 형님 사정이 여의치 않아 절에 모시게 되었더랬다.

스님이고 음식을 하는 보살이고, 철도 철이라 땀 엄청 흘리면서 고생하는 걸 보고 오자,

이게 무슨 짓인가, 안 할 거라면 모를까 버젓이 자손 있는데,

낯선 이들에게 맡길 게 아니라 우리가 모시겠다 나선.

하여 새로운 세계를 또 하나 만나게 된 거라.

 

병풍 앞으로 상 두 개를 이어 붙여 흰 종이를 깔고 제상을 마련하다.

1: 메와 갱, 촛대와 위패

2: 부추전 동태전 산적 두부전 동그랑땡 떡

3: 너비아니구이 육탕(소고기) 어탕(홍합) 소탕(두부) 생선(이 커서 3, 4열 걸쳐)

4: 포 삼색나물(숙주 고사리 시금치) 식혜 생선

5: 대추 밤 곶감 배 사과 포도 화과자

제상 앞으로 돗자리 깔고

향반과 주반을 합친 작은 상 위에 향로와 술과 퇴주합 놓고(그 아래에 모사그릇),

그 곁으로 축판 대신 찻상을 놓고 꽃도 놓고 축문과 다기를 놓음(퇴수기 포함).

 

제의 차례도 적어놓겠다.

1. 분향재배: 제주가 촛불 켜고 향 피우고 절(두 번)

2. 강신재배: 향으로 하늘에 고했으니 땅에 고함. 모사 그릇에 술 세 번 붓기

3. 참신: 모든 참가자 절

4. 초헌: 술잔 받아 제상에.

5. 독축: 축문 읽고 절

6. 아헌과 종헌: 초헌과 마찬가지.

7. 계반삽시: 멧그릇 뚜껑 열고 수저 동쪽으로 꽂기

8. 유식: 술잔을 더해 채워주는 일이던데 우린 뺌.

9. 합문과 계문: 밥을 아홉 번 떠먹을 동안의 시간,

참신자들이 문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리는데, 우리는 엎드리는 걸로 대신.

10. 헌다: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리고 멧밥을 3번 떠서 말아 놓고 수저도 같이 담금.

차로 대신할 수 있겠고,

우리는 차를 따로 달여 올림.

11. 철시복반: 수저 거두고 멧그릇 덮고.

12. 사신: 참신자 모두 두 번 절. 지방 축문 태우기

그리고 철상(제상 거둠)

정리하자면,

촛불과 향을 피우고 제주가 절하고, 술로 지신에게도 고한 뒤 모두가 절하고,

초헌 아헌 종헌을 하되 축문은 초헌을 한 뒤,

멧그릇에 숟가락 꽂고 조상신들 와서 드실 동안 엎드림.

헌다하고 멧밥 덮고 절하고, 지방과 축문 태운 뒤 상 거두기.

 

축문은 한글로 썼더랬네.

유 세차 기묘년 610일 효자 *** 삼가 밝게 고합니다.

아버지 돌아가신 날이 돌아와... 상 향

차를 달이고 내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라 헌다가 좋았더라.

참, 어제는 신위도 만들었더랬다.

빳빳한 종이로 받침대를, 그 위로 긴 상자처럼 만들어 비스듬히 놓으니, 

기념석처럼 보였다. 거기 지방을 붙이다.

나무색까지 칠하니 나무로 만든 것 같았네.

 

야삼경에 지낸다는 제사다만 요새는 그렇지 않다는 시절이 또 시절이라

제상을 거두고 늦은 저녁을 먹고 설거지를 끝내니 11시였다.

별일 없나 해서...”

낮에 어머니의 전화를 받았더랬다.

올해부터 저희가 제사를 모시게 되어 음식 장만하고 있어요.”

힘들겠네... (그래도)복 받을 일이다.”

한 벗도 그리 인사를 하더니.

하기야 뭐라고 하겠나.

그런() 거라도 있어야 준비하던 노고들에게 보상이 되겄다.

그런데 그냥도 즐거운 이벤트였다.

서로 조금만 마음을 쓰면 식구들 모이기도 좋을 날이라.

생이 더 재미나지 않으냔 말이다.

돌아가신 분들을 기리는 일은 일이기 이전 사람노릇 하나구나 싶었네.

어제인가도 썼다만, 

'내 삶에 없던 또 하나의 장이 펼쳐진다제사상을 다 차리게 될 줄이야...

사람 생이 참 모를 일이다그래서 흥미진진한그래서 또 살아가는.

우리 오지 않은 날을 두려워하기보다 반기며 새 세상을 맞아보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2005
6493 2005.10.29.흙날.맑음 / 커다란 벽난로가 오고 있지요 옥영경 2005-11-01 1996
6492 6월 28일, 그럼 쉬고 옥영경 2004-07-04 1996
6491 6월 15일, 야생 사슴과 우렁각시 옥영경 2004-06-20 1996
6490 39 계자 엿새째 1월 31일 옥영경 2004-02-01 1995
6489 아흔 다섯 번째 계자, 6월 25-27일 옥영경 2004-07-04 1994
6488 2007.11.10.흙날. 썩 맑지는 않지만 / 지서한훤(只敍寒暄) 옥영경 2007-11-19 1990
6487 12월 21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2-22 1990
6486 2014. 7. 6.해날. 낮은 하늘 / 이니스프리로 옥영경 2014-07-16 1986
6485 2011. 1.22-23.흙-해날. 맑음, 그 끝 눈 / ‘발해 1300호’ 13주기 추모제 옥영경 2011-02-02 1984
6484 2008. 5.4-5. 해-달날. 비 간 뒤 맑음 / 서초 FC MB 봄나들이 옥영경 2008-05-16 1984
6483 10월 13일 물날 맑음, 먼저 가 있을 게 옥영경 2004-10-14 1984
6482 <대해리의 봄날> 여는 날, 2008. 5.11.해날. 맑으나 기온 낮고 바람 심함 옥영경 2008-05-23 1983
6481 2005.12.19.달날.맑음 / 우아한 곰 세 마리? 옥영경 2005-12-20 1982
6480 불쑥 찾아온 두 가정 2월 19일 옥영경 2004-02-20 1981
6479 5월 25일 불날, 복분자 옥영경 2004-05-26 1976
6478 2005. 10.23.해날.맑음 / 퓨전음악 옥영경 2005-10-24 1974
6477 12월 13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4-12-17 1966
6476 125 계자 이튿날, 2008. 7.28.달날. 빗방울 아주 잠깐 지나다 옥영경 2008-08-03 1965
6475 6월 7일, 성학이의 늦은 생일잔치 옥영경 2004-06-11 196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