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 6.물날. 맑음

조회 수 500 추천 수 0 2023.09.19 23:58:43


"탁탁탁!"

이맘때면 이 멧골을 온통 그 소리가 채운다.

대개 백로께 터는 호두인데 올해는 비가 많았던 지라 더디다.

면소재지에는 호두 수매를 시작하고 있었다.

우리 밭에도 호두를 털었다. 수확이 여느 해 같지 않았다.


햇발동 오븐에 바게트를 열심히 굽던 여러 해가 있었다.

아이 어릴 적 그가 빵이 먹고 싶으면 어미에게 반죽을 해주고는 했다.

오븐에 문제가 생기고부터 스콘 정도만 구웠다.

그 사이 아이도 커버렸네.

이번 가을학기는 주에 한 차례 빵을 만들기로 한다. 과자포함이다.

오늘은 호두머핀을 굽다.

호두가 많은 마을이라 그 호두 넣어서.

별생각 없이 과자를 만들고 빵을 굽고는 하였는데,

제과와 제빵이 발효유무의 차이였네.

, 과자를 만들 때도 반죽을 냉장고에 넣지 않나. 아하, 그건 휴지기라고 하는구나.

반죽기가 있는 곳이어서 버터 설탕 달걀을 크림상태로 쉬 만들어 일도 아니었더라.

그나저나 카스테라를 만들 때도 설탕덩어리 같아 영 그렇더니, 머핀도 박력분과 설탕이 거의 1:1.

그렇다고 덜 넣으면 또 맛이 안 난단 말이지. 뭐 자주 먹는 건 아니니깐.

구웠다면 식히는 것도 그 시간만큼을 해야겠더라따뜻한 대로 또 맛이 있지만.

반죽하고 예열 오븐에 굽고 식히고, 그게 다다.

양이 제법 많아 몇 곳에 인사를 넣으며 나누다.

다리를 다쳐 오래 앓고 있는 한 할머니 댁에도 들여주다.

설거지를 돕고, 음식물쓰레기를 챙겨나왔더랬다. 쌓이면 얼마나 일이실 것인가.

 

오후에는 농기계수리센터에서 보내다.

기술교육까지는 아니고, 예취기를 좀 잘 써보려고.

우리도 그렇지만 사람들도 예취기들을 고치러 얼마나 다니는지.

부품을 갈고 고치는 거 혼자 해보려고그리 복잡한 구조도 아니니까.

자꾸 보고 안면을 익히고, 그리고 해보면 되는 날도 올.


면소재지에서 두엇의 사람과 부딪혔다.

"물꼬 교장선생님이세요?"

"물꼬를 아셔요?"

"그럼요. 교장선생님 맞으세요? 엄청 유명하시잖아요!"

응?

20년도 더 전에 물꼬에 드나들던 학부모와 동문이라고 했다.

강원도에 사는 그들이 먼 이곳에 와서 서로 만나 놀라고 신기했더라지.

뭐 유명하다기보다 멀리서도 아이를 보내는 친구를 보며 유명한 곳이니 여기까지 오겠지라고 생각했을 법.

모른다는 건 불편치 않으나 유명하다는 건 불편하다.

직접 우리를 설명하기 전 그들이 만든 그 '유명'이 있어서. 

그래서 내 경우에는 굳이 그 '유명'자에게 아는 체하지 않고는 한다.

혹여 상대가 불편할까 봐. 

하기야 유명이거나 무명이거나 그게 또 무어겠는가, 유명으로 밥벌이를 해야만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저 우리 삶을 살기로..

'유명'없이도 나날이 얼마나 빛날 생이런가!

 

올해 내려는 책에 좋은 본보기가 되는 책이 있는데,

그 글의 완성도에 대해 들었더랬다.

한해 내내 적어도 주에 한 차례 블로그에 글을 쓰며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았다고.

한 꼭지를 써놓고 정조차 안가 진퇴양난모양 앉았다가

벗을 귀찮게 하였다. 노안이 먼저 와서 어려움을 겪는 그인데,

글 그런 거 별 안 읽고 싶어하는 그인데...

어거지로 엥기고, 읽어준 그로 글의 고리가 풀렸더라는.

갈수록 다른 이들의 손이 자꾸 필요해지네, 그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094 2020. 1. 1.물날. 늦은 해 옥영경 2020-01-20 439
1093 2023.11. 7.불날. 갬 옥영경 2023-11-19 438
1092 2023. 9.30.흙날. 비 내린 아침 옥영경 2023-10-17 438
1091 2023. 9.21.나무날. 비 옥영경 2023-10-01 438
1090 2023. 9.17.해날. 갬 옥영경 2023-10-01 438
1089 2022. 1.15.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26 438
1088 2021. 6. 9.물날. 맑음 / 설악 소공원-비선대-마등령-나한봉-1275봉-나한봉-공룡능선-무너미고개-천불동계곡 옥영경 2021-07-07 438
1087 2021. 1.24.해날. 맑음 옥영경 2021-02-11 438
1086 2021. 1. 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27 438
1085 2020. 8. 7.쇠날. 채찍비, 작달비, 장대비 옥영경 2020-08-13 438
1084 2020. 2. 8.흙날. 흐리게 시작하더니 맑아진 옥영경 2020-03-06 438
1083 2024. 4. 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23 437
1082 2023.12.29.쇠날. 미세먼지로 뿌연 옥영경 2024-01-07 437
1081 2023.12. 7.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3-12-20 437
1080 2022. 6 16.나무날. 갬 / 청소에서 사랑까지 옥영경 2022-07-09 437
1079 2021.12.11.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06 437
1078 2021. 9.30.나무날. 맑음 / 설악에 깃들다·1 옥영경 2021-11-24 437
1077 2022. 7.10.해날. 다저녁 소나기, 밤에도 두어 차례 옥영경 2022-07-30 436
1076 10월 빈들모임(10.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21-12-10 436
1075 2020. 1.23.나무날. 비, 축축하게 옥영경 2020-03-02 43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