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 8.쇠날. 맑음

조회 수 472 추천 수 0 2023.09.28 12:00:50


볕 좋다.

빨래 건조대를 꺼내 먼지를 털고 행주며 걸레며 수세미들이며를 널었다.

담양의 한 한옥에서 맞은 아침이었다.

찻방을 치워내고 마당의 수반에 물을 채웠다.

차를 달였다.

소리꾼들이 왔다.

한 분은 모임 때마다 번번이 김치며 반찬을 챙겨온다.

여름 끝물의 고구마순이며 열무며 깻잎이며들이 맛나다.

그리고 또 남도의 김치를 얻어온다.

그곳 말로 징허게 개미지다(게미지다?)’는 김치.

맛나다라는 의미로는 모자란다.

먹으면 먹을수록 자꾸 당긴다? 맛이 깊다?

 

볕 좋은 마루에서 소리 연습을 하고,

차를 달여 마시고,

밥을 해서 먹고 돌아왔다.

고속도로에서 두 차례나 사고를 목격했다.

한 번은 그 현장이 채 치워지지 않아 차량 세 대가 찌그러진 걸 보기도.

사람의 일이란, 별일 없음이 자주 고마운.

그대, 안전하시라.

 

오는 길에 속리산 아래 들렀다.

벗이 저녁밥을 내놓았다. 식당이었다.

산채비빔밥을 먹는데, , 병의 뚜껑이 열리며 고추장이 쏟아졌다.

몇 걸음 곁에서 그걸 보았던 일하는 친구가 다가왔다.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다시 가져다 드릴게요.” 했다.

몸에 밴 친절이었다.

그냥 먹겠다 했다. 밥을 한 공기 더 가져다주었다, “짤 텐데...” 하며.

다시 그곳을 갈 일 있다면 그 식당을 가지 싶다.

기분 좋은 친절이었다.(하기야 친절이란 게 대체로 기분 좋음을 불러일으키네)

다시 찾을 만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14 2023. 2.21.불날. 맑음 옥영경 2023-03-17 321
6513 2023. 3. 7.불날. 맑음 옥영경 2023-03-29 321
6512 2020. 6.29.달날. 아침부터 빗방울, 저녁 되자 굵어진 옥영경 2020-08-13 322
6511 2020. 7. 3.쇠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0-08-13 322
6510 2020. 7. 5.해날. 흐린 속에 안타까운 듯 두어 방울 비 옥영경 2020-08-13 322
6509 2020. 7.20.달날. 옥영경 2020-08-13 322
6508 2021. 3.23.불날. 맑음 옥영경 2021-04-27 322
6507 2021. 5.31.달날. 갬 옥영경 2021-06-30 322
6506 2021. 6. 1.불날. 맑음 옥영경 2021-07-01 322
6505 2021.10.26.불날. 맑음 / 생의 어떤 순간이 우리를 후려치지만 옥영경 2021-12-15 322
6504 2022. 6.30.나무날. 비 온다더니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옥영경 2022-07-27 322
6503 2022. 7.16.흙날. 흐림 옥영경 2022-08-04 322
6502 2022.11. 4.쇠날. 맑음 옥영경 2022-11-28 322
6501 2022.11.18.쇠날. 맑음 옥영경 2022-12-16 322
6500 2023. 1.16.달날. 흐림 옥영경 2023-02-11 322
6499 2023. 2.16.나무날. 흐리다 오후 눈싸라기 / 설악산 소청산장 옥영경 2023-03-15 322
6498 2023. 2.18.흙날. 까만 하늘 옥영경 2023-03-15 322
6497 2023. 2.2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3-21 322
6496 2023. 3. 5.해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22
6495 2020. 6. 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8-13 32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