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24.해날. 흐림

조회 수 356 추천 수 0 2023.10.07 23:47:19


바다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약 30% 흡수한다. 탄소저장고.

그런데 이 양이 너무 많아지면서 빠르게 산성화되고 있다고.

여전히 바다는 약염기성을 띄고는 있지만 산성화 가속화가 문제.

산호, 바다 플랑크톤, , 조개, 게 들의 골격과 껍질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바닷물 PH농도가 낮아질수록 탄산칼숨을 만드는데 필요한 탄산이온이 줄어든다고.

바다 생물의 생존이 그만큼 어려워지는.

스코틀랜드의 세인트압스에 있는 세인트압스 해양연구소에 따르면

산호 생태계가 제일 문제.

산호는 바다 생물의 수많은 서식지이자 산란처인데,

산호 골격이 무너지면서 산호 군락의 규모가 줄며 바다 숲의 구조가 단순해진다는 거다.

한국 바다도 예외가 아니란다.

이대로라면 2100년에는 해수의 PH7.6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2100, 먼 날이 아니다!

해양산성화와 온난화가 결합해 생태계가 무너진 그 바다에

산호군락도 어패류도 살아남기 힘든 거야 짐작이 어렵지 않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기술의 진보도 있을 테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도 도움이 되겠지만,

여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정부는 그런 일을 하는 기구고, 그럴 힘이 있는.

우리는 정부에 그것을 요구해야 한다.

그래서도 물꼬는 한 기후행동단체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대도 같이 행동하지 않으실는지?

 

오후에는 들에 나가 있었고,

이른 저녁 대처 나가 있는 식구들도 다 모여 밥상에 앉았더랬다.

한가위 한 주를 마지막 주로 내놓고 있는 9월이라

또 가을학기를 시작하고 다들 흐름을 잡느라고도

정작 물꼬에 들어오는 메일이며가 한산한.

이렇게 또 호흡을 좀 고르고 가게 되나 보다.

밤에 하기로 한, 올해 내는 책의 편집회의가 밀렸다.

원고도 더 써 나가야는데 그 역시 밀리고 있네.

호흡 결이 잔잔해지면 또 다음 일을 가볍게 손댈 수 있을 테지...

 

긴 메일 하나에 응답 글을 오래 쓰고 있는 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54 2023. 3. 7.불날. 맑음 옥영경 2023-03-29 296
6553 2023. 4.26.물날. 갬 옥영경 2023-05-31 296
6552 2024. 3. 8.쇠날. 오후 구름 걷히다 옥영경 2024-03-28 296
6551 2024. 3.24.해날. 흐림 옥영경 2024-04-10 296
6550 2020. 6.20.흙날. 맑음 옥영경 2020-08-13 297
6549 2020. 7. 3.쇠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0-08-13 297
6548 2021.10.12.불날. 비 옥영경 2021-12-08 297
6547 2023. 2. 3.쇠날. 맑음 옥영경 2023-03-05 297
6546 2023. 2.12.해날. 때때로 흐린 / 설악산행 8차 열다 옥영경 2023-03-11 297
6545 2023. 3.28.불날. 맑음 옥영경 2023-04-26 297
6544 2020. 6.13.흙날. 비 옥영경 2020-08-13 298
6543 2021. 5. 3.달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1-06-09 298
6542 2021. 5.17.달날. 비 옥영경 2021-06-18 298
6541 2022.11.23.물날. 는개비 아침, 갠 오후 옥영경 2022-12-22 298
6540 2023. 1.31.불날. 맑음 / 경옥고 이틀째 옥영경 2023-03-03 298
6539 2023. 2.13~14.달날~불날. 흐리고 눈비, 이튿날 개다 옥영경 2023-03-13 298
6538 2023. 4.30.해날. 맑음 옥영경 2023-06-03 298
6537 2023. 5. 1.달날. 맑음 옥영경 2023-06-03 298
6536 2023. 5. 9.불날. 맑음 옥영경 2023-06-13 298
6535 2023. 6.11.해날. 흐리다 소나기 옥영경 2023-07-21 2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