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24.해날. 흐림

조회 수 431 추천 수 0 2023.10.07 23:47:19


바다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약 30% 흡수한다. 탄소저장고.

그런데 이 양이 너무 많아지면서 빠르게 산성화되고 있다고.

여전히 바다는 약염기성을 띄고는 있지만 산성화 가속화가 문제.

산호, 바다 플랑크톤, , 조개, 게 들의 골격과 껍질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바닷물 PH농도가 낮아질수록 탄산칼숨을 만드는데 필요한 탄산이온이 줄어든다고.

바다 생물의 생존이 그만큼 어려워지는.

스코틀랜드의 세인트압스에 있는 세인트압스 해양연구소에 따르면

산호 생태계가 제일 문제.

산호는 바다 생물의 수많은 서식지이자 산란처인데,

산호 골격이 무너지면서 산호 군락의 규모가 줄며 바다 숲의 구조가 단순해진다는 거다.

한국 바다도 예외가 아니란다.

이대로라면 2100년에는 해수의 PH7.6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2100, 먼 날이 아니다!

해양산성화와 온난화가 결합해 생태계가 무너진 그 바다에

산호군락도 어패류도 살아남기 힘든 거야 짐작이 어렵지 않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기술의 진보도 있을 테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도 도움이 되겠지만,

여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정부는 그런 일을 하는 기구고, 그럴 힘이 있는.

우리는 정부에 그것을 요구해야 한다.

그래서도 물꼬는 한 기후행동단체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대도 같이 행동하지 않으실는지?

 

오후에는 들에 나가 있었고,

이른 저녁 대처 나가 있는 식구들도 다 모여 밥상에 앉았더랬다.

한가위 한 주를 마지막 주로 내놓고 있는 9월이라

또 가을학기를 시작하고 다들 흐름을 잡느라고도

정작 물꼬에 들어오는 메일이며가 한산한.

이렇게 또 호흡을 좀 고르고 가게 되나 보다.

밤에 하기로 한, 올해 내는 책의 편집회의가 밀렸다.

원고도 더 써 나가야는데 그 역시 밀리고 있네.

호흡 결이 잔잔해지면 또 다음 일을 가볍게 손댈 수 있을 테지...

 

긴 메일 하나에 응답 글을 오래 쓰고 있는 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14 품앗이 여은주샘 옥영경 2004-02-20 2074
6513 마지막 합격자 발표 2월 20일 쇠날 옥영경 2004-02-23 2070
6512 39 계자 열 나흘째 2월 8일 옥영경 2004-02-11 2067
6511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65
6510 6월 7일주, 우리 아이들이 한 일 옥영경 2004-06-11 2064
6509 98 계자 이틀째, 8월 17일 불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4-08-18 2063
6508 6월 6일, 찔레꽃 방학을 끝내고 옥영경 2004-06-07 2057
6507 시카고에서 여쭙는 안부 옥영경 2007-07-19 2054
6506 고기 또 먹던 한 날, 5월 16일 옥영경 2004-05-26 2051
6505 124 계자 이튿날, 2008. 1.14.달날. 꾸물꾸물 잠깐 눈방울 옥영경 2008-02-18 2048
6504 8월 1-4일, 배혜선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09 2048
6503 4월 10-11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04-13 2043
6502 2011. 6.14.불날. 맑음 / 보식 2일째 옥영경 2011-06-18 2042
6501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35
6500 124 계자 사흗날, 2008.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2028
6499 8월 23일, 류기락샘 출국 전날 옥영경 2004-08-25 2027
6498 일본에서 온 유선샘, 2월 23-28일 옥영경 2004-02-24 2025
6497 39 계자 아흐레째 2월 3일 옥영경 2004-02-04 2024
6496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2017
6495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201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