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4.해날. 맑음

조회 수 328 추천 수 0 2024.01.29 23:46:02


이어지는 겨울90일수행,

 

이어지는 173계자 기록이다.

아직 계자 가운데 있다.

닫는 날과 아이들 갈무리글을 옮겼다.

각 계자들은 몇 장면으로 더욱 선명해지고는 한다.

시작하며 유달리 추웠던 계자였다.

사나웠던 기온이 갈수록 풀려 다행했다.

아주 푹하고 맑은 가운데 아이들을 보내 고마웠다.

떠나기 전 아이들과 목청껏 부른 신아외기소리는 오래 우리 귓가를 맴돌 것이다.

 

영화 <서울의 봄>의 여파로 칼이 난무한 놀이가 있었고,

걱정 많은 어른(나다)은 전쟁에 아이들이 무감각해질까 걱정이었는데,

그래서 마지막 날 모든 일정을 놓고 반짝 한데모임을 했더랬다.

말을 꺼내기 시작했을 때, 나도 내가 명확하게 무엇을 말하려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시작한 발언이었는데,

여덟 살 윤진이가 알 것 같다고 했다.

눈물이 핑 돌았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서만 대화하는 게 아니다.

누군가에게는 간절한 문제를 그 크기만큼 공유하지 못한다 해도

그 순간 상대를 헤아려보려 하고,

멈춰서 같이 생각해보는 것, 그런 게 같이 사는일일 것이다.

 

버블티로도 오래 기억될 계자였던 듯하다.

최선을 다하는 물꼬랄까.

이 깊은 멧골에서 어떻게든 아이들의 바람을 이뤄주고 싶은.

밖에서 빨대와 타피오카펄을 공수하고 홍차를 내리고 시럽과 우유를 챙겼던 시간,

그게 아이들을 향한 물꼬의 마음이었다.

돈으로야 무엇 하나 어려울 게 있으려나.

장갑을 잃어버린 예린이, 한 아이의 걱정을 해결해주는 과정 또한 그런 것이었다.

집으로 돌아가 혼이 날까 걱정하며 눈물이 뚝뚝 떨어지던 아이에게

마지막까지 찾고 대체재를 꺼내고 꺼낸 장갑을 깁고, 집에 말도 넣어주겠노라 한 과정에서

아이는 환해졌더랬다.

 

물꼬는 공부 못지않게 몸을 쓰며 일하는 것도 큰 배움이라 여기는 곳.

이곳의 교사는 앞에서 가르치기만 하는 게 아니라 같이 사는 사람.

보육과 교육이 함께 있는 곳.

물꼬는 어른들이 먼저 잘 사는 삶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려 하나니.

애쓴 이름자를 깊이 고마워하며 다시 적어본다;

강휘령 문정환 김현진 안현진 이건호 이윤호 임채성 박윤실 박현철 신영철 옥영경

어느 때보다 편안한 흐름이었던 계자였다.(가장 큰 까닭이야 밥바라지 덕일!)

밖에 있어도 샘들이 일을 나눠 계자 준비를 차곡차곡 해왔더랬다.

하다샘이 명단을 정리하고 휘령샘이 여행자보험과 글집을 맡고,

그 글집을 안현진샘이 들고 오고,

희중샘이며 마을 형님들이며 부모님들이며 계자 먹을거리들을 들여주고, ...

어려운 시간을 쪼개 자신을 던진 휘령샘을 비롯한 품앗이샘들에 대한 찬사를

거듭 아니 할 수 없다!

 

갈무리 글을 옮기며 7학년 현준에게 덧붙인 글은 두고두고 아이들과 나누고픈 이야기다.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고’ ‘방학식을 못 끝내고 온 것이 매우 후회가 되었다던 현준은

예비새끼일꾼으로서 일을 좀 하여 힘들었다 했다

마음을 내서라기보다 시켜서 한 일에 가까웠기에 더욱.

새끼일꾼에 대한 고민이 깊었다 한다.

하지만 장작놀이 하는 불가에서 한번 해보자는 마음이 일었다고,

이번계자를 보내고 나니 마냥 아주 좋았다!라고는 못하겠지만 이정도면 꽤나 괜찮았고 특별하다면 아주 특별한 계자였던 것 같다.

그의 갈무리 글 끝에 이리 달아놓았다.

현준아나는 그대의 솔직함이 참 좋다고민하는생각하는 그대가 좋고의심과 의문이 있는 생각이 우리를 한 발 나아가게 한다 여김.

모든 가지 않은 길은 더 아름다운 길로 보이고는 하더라물론 그 길이 더 좋을 수도 있겠지만남의 떡이 커 보인다는 말도 다르지 않을 

뜻이겠다.

안 간 길이 더 좋았다고 어찌 장담하누내가 간 길이 더 낫고내 떡이 더 클 수도 있음!

거의 손톱만큼(ㅋㅋ)도 남 생각 않던 그대가 ‘끄응’ 하고 일어나 빗자루를 들었듯 또 어떤 변화들이 우리에게 있지 않겠는지.

해볼 것재지 않고 자신을 한번 던져볼 것!

마음을 내서 기꺼이 해볼 때 자신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꼭 경험해보기를 바람.”

 

목이 칼칼하다.

따갑고 가래가 생기고 기침.

독감인지 코로나인지까지는 모르겠고 목감기는 맞는 모양.

돌아간 이들은 괜찮으신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74 6월 14일, 유선샘 난 자리에 이용주샘 들어오다 옥영경 2004-06-19 2201
6573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00
6572 2017. 2.20.달날. 저녁답 비 / 홍상수와 이언 맥퀴언 옥영경 2017-02-23 2199
6571 글이 더딘 까닭 옥영경 2004-06-28 2198
6570 '밥 끊기'를 앞둔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2-12 2195
6569 지금은 마사토가 오는 중 옥영경 2004-01-06 2191
6568 2007.11.16.쇠날. 맑음 / 백두대간 제 9구간 옥영경 2007-11-21 2190
6567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187
6566 2007. 6.21.나무날. 잔뜩 찌푸리다 저녁 굵은 비 옥영경 2007-06-28 2173
6565 6월 11일, 그리고 성학이 옥영경 2004-06-11 2172
6564 5월 29일, 거제도에서 온 꾸러미 옥영경 2004-05-31 2171
6563 100 계자 여는 날, 1월 3일 달날 싸락눈 내릴 듯 말 듯 옥영경 2005-01-04 2169
6562 6월 10일 나무날, 에어로빅과 검도 옥영경 2004-06-11 2169
6561 2007. 5.31.나무날. 소쩍새 우는 한여름밤! 옥영경 2007-06-15 2167
6560 6월 9일 물날, 오리 이사하다 옥영경 2004-06-11 2165
6559 처음 식구들만 맞은 봄학기 첫 해날, 4월 25일 옥영경 2004-05-03 2162
6558 2005.10.10.달날. 성치 않게 맑은/ 닷 마지기 는 농사 옥영경 2005-10-12 2161
6557 5월 6일, 류옥하다 외할머니 다녀가시다 옥영경 2004-05-07 2159
6556 6월 11일 쇠날, 숲에서 논에서 강당에서 옥영경 2004-06-11 2154
6555 2005.11.8.불날. 맑음 / 부담스럽다가 무슨 뜻이예요? 옥영경 2005-11-10 215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