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자로서 아픈 그대에게.

글월을 받고 같이 아팠네.

무슨 말로도 위로가 어려울.

밥부터 드시게!”

내가 단단해야 그를 제대로 추억할 수 있지 않겠는지.

아파하는 우리를 보는 게 떠난 그는 또 어찌 편할까.

잔인하게 들릴 지도 모르겠으나 먼저 충분히 슬퍼하자 말하겠네.

달이 차야 기울듯 무슨 일이나 '다 해야', 그 끝에 이르러야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더군. 

그러므로 눈물을 이제 거두라고도 말하지 않겠네.

그대의 상심을 결코 다 안다 말하지 못하리.

그런데 우리 알지 않은가, 우리는 그 누구도 우리 자신에게 속한다고 하지 못함을.

인간은 결코 그 누구에게 속할 수 없지.

우리는 다만 어느 특정한 한 순간을 같이 보냈던 것.

그건 누구의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같이 보낸 시간.

흔히 그러더군, 인간은 추억에서 사라질 때 죽는다고.

죽은 자는 산자 곁에 그리 남는 거다 싶으이.

거듭 말하지만 우리가 단단해야 떠난 이를 잘 추억할 수 있지 않겠는지.

그런데 말이지, 우리 마음에서까지 그를 굳이 떠나보낼 필요는 없지 않을지.

지금은 너무 아프니 어여 보냈으면 하는 마음이 들 수도.

떠난 이들은 어떻게든 우리 안에서 같이 살지 않더뇨.

나는 떠난 이로 설혹 아파도 그를 알았던 시간에 감사하네.

그리움은 결코 옅어지지가 않던데,

그래도 그리운 슬픔을 택하겠으이. 위로가 안 되겠지만...

북미 인디언들의 이야기에 그런 말이 있었더라.

인간은 사람들의 추억에서 사라질 때 죽는다.’

그가 죽어도 우리는 떠나지 않음.

우리가 잊는 것은 기억일 뿐 그와 보낸, 그래서 우리 몸에 남은, 그와 쌓은 정서들은

결코 사라지지 않지. 우리 삶에 그대로 녹아있는.

그리하여 어느 날 우리 앞에 불쑥불쑥 되살아나는 그이들이라.

인간은 죽어도 인간의 성분은 우주가 소멸될 때까지 사라지지 않는다지 않던가.

그러니 그도 나도 그런 의미에서 우리 영생이라.

그가 떠났지만 떠나지 않았으니

우리 그를 기쁘게 잘 만나도록 지금 밥부터 먹으세나!

 

 

설이 머잖았다.

벌써부터 안부를 여쭙거나 인사를 해오거나.

이곳에서는 여름과 겨울 계자를 갈무리하고 인사를 건네기도.

집안 어르신들께 두루 안부를 여쭙고.

지리산에 살던 동료가 일을 접고 안동 산골로 가 사과농사를 짓는다며

이 설에는 사과를 보내겠노라는 무범샘의 문자도 들어왔다.

명절은 잊었거나 잊히거나 했던 이들도 떠올리고,

잊지 않고 있다 인사를 넣을 말미를 얻게도 되는.

겨울계자를 보내며 목에 머물던 감기가 좀 털어져

비로소 편하게 씻고,

집의 묵은 먼지들도 좀 털고.

교문 안쪽의 패인 곳에 연탄재를 깨 넣었다.

차가 오가며 누르고, 다시 그 위로 깨고,

봄이 오고 마지막 연탄을 화로에서 꺼낼 때까지 그러할 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34 2012. 4.16.달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05
1833 3월 10일 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5-03-13 1206
1832 2007. 1.2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03 1206
1831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06
1830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08-04-06 1206
1829 2009. 2.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206
1828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06
1827 2011.10.22.흙날. 비 옥영경 2011-10-31 1206
1826 예비 실타래학교 닫는 날, 2013. 1.18.쇠날. 맑음 옥영경 2013-02-01 1206
1825 2013 여름 청소년계자(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3-07-28 1206
1824 8월 22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9-11 1207
1823 2008. 3.15.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03 1207
1822 2008. 7.25.쇠날. 비 옥영경 2008-07-30 1207
1821 2009. 2. 1.해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207
1820 2011.12.11.해날. 흐리나 푹한, 그러다 해도 반짝 옥영경 2011-12-20 1207
1819 150 계자 나흗날, 2012. 1.11.물날. 바람 매워지는 옥영경 2012-01-19 1207
1818 2012. 3.29.나무날. 상쾌한 바람 뒤 저녁 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07
1817 2012. 9. 7.쇠날. 종일 흐리다 밤 9:10 비 옥영경 2012-10-01 1207
1816 8월 28일 해날, 달골 아이들 집 첫 삽 옥영경 2005-09-12 1208
1815 8월 31일 물날 흐리다 비도 몇 방울 옥영경 2005-09-12 120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