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칩이라지만 두리번거려도 물러가지 않은 겨울이다.

학교아저씨 일지에는 ‘2.16.. 저녁에 밭에 풀싹들이 보인다. 봄이 오고 있는 중.’,

‘2.24.. 마늘 촉 보임.’ 눈발 흩날리는 속에도 오르고 있는 촉을 기록하고 있었다.

더디나 마침내 오고 마는 봄일 테다.

 

11시 차를 달였고, 정오에 국수를 말았다.

새 학년도를 시작한다; ‘첫걸음 예()’

사물에는 뿌리와 가지가 있고, 일에는 시작과 종말이 있다; 物有本未 事有始終(물유본미, 사유시종)

<예기>의 한 구절이다.

모든 일에, 모든 것에 처음이 있었다.

시초(始初); 맨처음.

사람은 누구나 어미의 뱃속에서 삶을 시작하니 시()가 있을 테다.

()는 옷과 칼.

아득한 그 옛날, 짐승의 가죽을 칼을 써서 잘라 옷을 지었어 입었다는 말이겠지.

우리는 또 첫 땀을 뜬다. 2024학년도다!

 

먼 봄이라지만 경칩이라고 저녁이 내리는 물 고인 논에서 개구리들이 울었다.

, 한국에 왔구나, 멧골에 돌아왔네!’

인도에서 떠나오기 전날 감기를 업었던 지라 오는 비행 내내 초죽음이었다.

첸나이공항에서 델리까지 2시간 45, 그리고 델리에서 인천공항으로 오는 7시간.

챙겨갔던 몇 알의 약을 다 먹었던 탓에 양 기내에서 다시 약을 얻어먹고

끙끙 앓으며 아주 쓰러져서 왔더랬네,

한여름에서 겨울로 바로 들어오는 입성기가 까탈스러웠던 걸로.

며칠 살살 움직이며 새 학년도를 시작하겠다.

물꼬는 또 어떤 세월을 건널 것인가.

 

멀리 갔다 돌아오면 사람들이 묻는다, 거기 어떠셨냐고.

하루하루를 세월에 맡기고 흘렀는데,

아무 걱정이 없었더랬다.

어쩌면 나는 그걸 연습하러 갔을지도 모르겠네.

아침마다 바닥에 철퍼덕 엎드렸다 일어나는 대배로 삶을 일으키듯

세월에 맡기고 사는 일을 연습하러 말이다.

무얼 걱정하겠는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74 2024. 1.21.해날. 비 옥영경 2024-02-07 327
6573 2024. 1.20.흙날. 비 / 발해1300호 26주기 추모제 옥영경 2024-01-30 446
6572 2024. 1.19.쇠날. 흐림 / 문바위 옥영경 2024-01-29 334
6571 2024. 1.18.나무날. 비 옥영경 2024-01-29 336
6570 2024. 1.17.물날. 비 옥영경 2024-01-29 326
6569 2024. 1.16.불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36
6568 2024. 1.15.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29
6567 2024.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61
6566 2024. 1.13.흙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63
6565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553
6564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548
6563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420
6562 173계자 나흗날, 2024. 1.10.물날. 구름에 살짝 걸린 해 옥영경 2024-01-13 398
6561 173계자 사흗날, 2024. 1. 9.불날. 흐림 옥영경 2024-01-11 489
6560 173계자 이튿날, 2024.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10 507
6559 173계자 여는 날, 2024. 1. 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09 757
6558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503
6557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466
6556 2024. 1. 4.나무날. 새벽 싸락눈 옥영경 2024-01-08 536
6555 2024. 1. 3.물날. 눈 / 계자 사전 통화 옥영경 2024-01-08 38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