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엄마의 메일을 받는다.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딸아이를 위해 줄

좋은 글귀를 하나 보내달라는데,

찾자면 또 얼마나 흔할 좋은 글들이겠는지.

이 변방 깊은 곳에 사는 물꼬가 뭐라고 우리 존재를 확인시켜주시었네.

긴 말을 할 처지도 아니고 그저 두어 문장과 함께 오직 기쁘게 사시라하였다.

헤르만 헤세의 시 어딘가에서 그랬지,

인생에 주어진 의무는 그저 행복하라는 한 가지 의무뿐이라고.

기쁨이 없는 사람이 세상을 피곤하게 만든다고.

그런데 그 답 메일은 그 딸을 위한다기보다 어머니를 위한 글월이라 말씀드렸다.

어머니가 기쁘면 딸도 엄마를 좇지 않겠는지.


과일이 거의 떨어지지 않는 물꼬 부엌이다.

지난 한 달 가까이 인도에서 머물다 왔다. 물가도 싸거니와 과일은 더 싼.

넘치는 과일을 달고 있다가 왔으니

사과 11만 원이 넘는 가격은 가격표의 숫자를 자꾸 다시 세게 했다.

왜 이리 비쌀까?

작황이 나쁘면 비쌀 밖에.

뭐 농사란 게 올해 나쁘다고 내년에 나쁜 것도 아닐.

그렇더라도 어느 정도여야지. 왜 이다지도 비싼 걸까?

기후위기? 기후요인이라면 전 세계가 같이 겪는다.

몇 해째 벌이 줄고, 수분을 못해 사람이 붓으로 꽃가루를 묻혀주어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몰랐던 사실인데, 한국의 농산물 가격은 좀 특이했다.

서울이 제일 싸물건도 젤 좋아.”

스무 살 무렵 한 선배가 했던 말은 오래 잊히지 않았더랬다.

보통 생산지에서 생산자들이 경매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는 여느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90% 가까이 서울의 공영도매시장, 그러니까 소비지에서 가격이 결정된단다.

1985년 만들어진 경매제도.

모조리 가락시장에 모인 농산물들이 지방으로 내려가며 또 경매, 경매.

내려가며 유통비가 붙다보면 때로 생산지가 더 비싸지게도 되는.

가락시장의 공영도매시장에는 다른 거래제도가 없다.

농안법 시행령으로 직거래도매상이 들어서지 못하게 막아뒀다고.

아니다, 법으로는 있지만 복잡하고 까다로워 결국 하지 말라는 말이란다.

농협 포함 6개 청과회사의 대주주가 대기업. 그들이 독점적 수탁권을 가지는.

공영도매시장은 세금으로 운영되는데, 매매차익은 온전히 대주주의 몫이다.

그러니까 값이 높다고 농가가 그 혜택을 갖는 것도 아닌.

결국 독점구조의 폐해였다.

그러면 수입을 하면 되잖나.

검역조치며 그 과정이 또 길다네. 4, 5년 걸린다고.

문제는 이런 지점에서의 정책이다. 현 정부의 대응책.

소비 생산 유통 수입, 촘촘하게 살펴 정책을 내놓는 게 아니라

마치 필수의료와 지방의료를 살리는 일에 의대증원 2천 명 밖에 생각 못하고

또 그 여파도 모른 채 툭 던지는 정책처럼

이 역시 한 가지밖에 모르는. 수입하면 되지, 하는.

물가관리가 안 되는 거다. 무대책인 거다.

물론 이게 쌀만큼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거라 그럴 수도 있다지만

가끔 사과도 먹어야지!

물론 아쉽지만, 대체재가 없는 건 아니지. 사과 없으면 바나나 먹지.

그런데 그것마저 싸지 않다.

정말 심각한 문제는 밥상 물가 관리에 대한 정부의 모자란 인식이다.

후쿠시마 원전 해양수에 대한 대응이 그 모양이었던 것도 같은 맥락일.

그러니 사과 한 알 1만원 가격이 인재로 보일 밖에.

무능한 정부다.

이건 뭐 전문성이라고는 없다.

유통구조를 개선하거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거나 무엇도 없다.

마냥 올라가는 사과값으로

앞으로 우리 밥상이 더 열악해질 것을 내다본다.

식량자급률도 떨어질.

정부 부재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다음은 이제 국민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묻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14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30
6513 품앗이 여은주샘 옥영경 2004-02-20 2029
6512 6월 7일주, 우리 아이들이 한 일 옥영경 2004-06-11 2027
6511 6월 6일, 찔레꽃 방학을 끝내고 옥영경 2004-06-07 2025
6510 8월 1-4일, 배혜선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09 2024
6509 129 계자 이튿날, 2009. 1. 5. 달날. 꾸물럭 옥영경 2009-01-09 2023
6508 39 계자 열 나흘째 2월 8일 옥영경 2004-02-11 2022
6507 고기 또 먹던 한 날, 5월 16일 옥영경 2004-05-26 2021
6506 124 계자 이튿날, 2008. 1.14.달날. 꾸물꾸물 잠깐 눈방울 옥영경 2008-02-18 2020
6505 2011. 6.14.불날. 맑음 / 보식 2일째 옥영경 2011-06-18 2015
6504 8월 23일, 류기락샘 출국 전날 옥영경 2004-08-25 2008
6503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05
6502 4월 10-11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04-13 1999
6501 124 계자 사흗날, 2008.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1998
6500 2009. 7.13.달날. 지난 밤 큰비 다녀가고, 두어 차례 더 옥영경 2009-07-30 1995
6499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1986
6498 일본에서 온 유선샘, 2월 23-28일 옥영경 2004-02-24 1983
6497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1982
6496 12월 21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2-22 1980
6495 아흔 다섯 번째 계자, 6월 25-27일 옥영경 2004-07-04 198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