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21.나무날. 맑음

조회 수 437 추천 수 0 2024.04.10 02:23:02


어느 자리에서는 가르치고, 어느 자리에서는 배우는 판소리다.

이번 학년도도 소리 수업이 있다.

한 학기 3개월, 한 해 여섯 달, 달에 두 차례.

산속에 집중 소리연습을 하러 들어가지는 못해도

조금 떼는 걸음처럼 그리 해나갈.

 

새 학기 판소리 첫수업이 있었다.

소리 한 대목을 주었다.

오래 해왔던 할머니들인데, 기억을 못한다 못한다 해도

어느새 또 한 소절이 만들어져 있다.

녹음한 것을 날마나 듣는다고 했다.

날마다’ 쌓이는 것의 놀라움이라.

 

소리 한 대목을 받기 시작했다.

부를 데가 없는데 옥선생 땜에 부르네.”

하도 하고 하여서 몸에 붙은, 아니 몸에 밴 소리를,

그래서 툭 누르면 자동으로 나오는 소리인데

더러 가사를 잊는 선생님,

부를 데가 없어 잊히는 소리...

나는 그것을 기억하고 받아두려 한다.

그리고 그것을 아이들 앞에서 아무렇지 않게 무심히 내뱉는 말처럼 들려주려 한다.

 

다인(茶人)들이 물꼬에 찾아들면 더러 안타까워하는 얼굴을 보이고는 한다.

황궁다법 시연도 하고, 차를 가르치고 찻자리를 주관하는 사람이

기물(다구)이 어찌 이리 없는가 하는.

정작 이곳에는 일년 내내 단 한 번도 쓰지 않은 찻잔도 있는 걸.

들차회 같은 때 꼭 필요한 게 있을 땐(드물지만) 다인들에게 빌리면 되는.

다른 다인들에 견주면, 없지만 넘친다.

같은 예술단에 있는 미순샘이 오늘 무쇠 주수자(찻주전자)를 선물로 주었다.

꽃 장식이 된, 그 무거운 물질을 가볍게 보이게까지 하는, 아름다운 물건이다.

향로도 둘 내밀었다.

황궁다법 시연 때 빌려주셨던 건데 내게 쓰임이 더 좋으니 주신다는.

가게를 차려도 될 만치 많은 그의 기물들이나

넘친다고 주는 것이 아닐 것이며,

또 좋다고도만 받을 일도 아니었다.

다법 시연에 꼭 맞는 물건들인 거라.

물꼬에는 늘 그렇게 필요한 것들이 닿는다.

그는 남도의 김치며 생선을 물꼬 부엌살림으로 자주 내주시기도.

먼저 내주는 사람’,

그래서 나도 늘 뭔가 내주고픈 그이고,

나아가 누군가에게 나도 먼저 내주도록 하는 그이라.

고마운 인연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4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42
53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33
52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72
51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201
50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31
49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20
48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64
47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94
46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77
45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72
44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98
43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23
42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38
41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146
40 계자 둘쨋날 1월 6일 옥영경 2004-01-07 2165
39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534
38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517
37 지금은 마사토가 오는 중 옥영경 2004-01-06 2287
36 박득현님 옥영경 2004-01-06 1873
35 새해맞이 산행기-정월 초하루, 초이틀 옥영경 2004-01-03 243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