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조회 수 1264 추천 수 0 2006.04.26 12:35:00

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앉은 아이들
- <자유학교 물꼬> 두 돌잔치를 맞으며


바람이 달디 달아서
살아 숨쉬는 것들이라면 수런거리지 않을 수 없는 봄밤이지요.
십수 년을 준비하고
마침내 2004년 삼월삼짇날(양력 4월 21일) 문을 열었던 산골공동체배움터가
두 돌을 맞습니다.

고향을 떠난 이들은 너무 멀어서 못 오고 너무 바빠서 못 와도
아주 먼 곳일지라도 봄이면 어김없이 달려오는 이들이 있습니다.
산수유가 언덕배기에 먼저 닿고
복사꽃 앵두꽃 자두꽃 사과꽃 봄맞이꽃이 뛰어와 숨을 고르지요.
푸른 마늘밭,
못자리를 내려고 가는 쟁기,
어데서 저 많은 것들이 숨어있었던 걸까 싶은 개구리들,
산골 봄날의 그것들만 보고 살아도 큰 배움이겠습니다.
그 밭에서, 들에서, 아이들이 놀며 일하며 커갑니다.
고마울 일입니다.

‘나무를 베면 / 뿌리는 얼마나 캄캄할까’는
어느 시인의 노래를 들었습니다.
아이들 존재 하나 하나에 환한 볕이 들도록 애쓰며 살고 싶습니다.
좋은 일, 즐거운 일에 더 힘을 쏟으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중뿔난 생이 어딨을까요,
나눠주는 마음, 보태주는 손발들이 만든 그늘에서
가난한 산골학교가 이태를 넘길 수 있었지요.
무엇으로도 고마움을 전할 길 없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다시 찾아온 4월 21일,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올라앉은 아이들이 여러분을 모십니다.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운동장가의 소나무와 살구나무 사이를 선물처럼 걸어 들어와
기쁨 함께 누리소서.

(200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934 2006.5.5.쇠날. 흐린 오후 / 들놀이 옥영경 2006-05-11 1395
933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21
932 2006.5.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5-09 1170
931 2006.4.30-5.4.해-나무날 / 자율학교였단다 옥영경 2006-05-09 1234
930 2006.4.29.흙날. 맑음 / 물꼬 논밭에도 트랙터가 다닌다 옥영경 2006-05-09 1241
929 2006.4.28.쇠날. 맑음 옥영경 2006-05-09 1195
928 2006.4.2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5-09 1144
927 2006.4.26.물날.맑음 옥영경 2006-05-09 1063
926 2006.4.25.불날. 황사 옥영경 2006-05-09 1103
925 2006.4.24.달날. 황사 옥영경 2006-05-09 1177
924 2006.4.23.해날.맑음 옥영경 2006-05-09 1151
923 2006.4.22.흙날 / 달골 아이들집(햇발동과 창고동)은 어떻게 세워졌는가 옥영경 2006-05-09 1475
922 2006.4.21.쇠날 / 달골 안택굿 고사문 옥영경 2006-04-27 1310
921 2006.4.21.쇠날 / 두 돌잔치(+달골 아이들집 안택굿) 옥영경 2006-04-27 1514
» 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옥영경 2006-04-26 1264
919 2006.4.20.나무날. 싸락눈 옥영경 2006-04-26 1433
918 2006.4.19.물날. 비바람 옥영경 2006-04-21 1295
917 2006.4.18.불날. 황사 옥영경 2006-04-21 1254
916 2006.4.17.달날. 맑음 옥영경 2006-04-21 1186
915 2006.4.15-6.흙-해날. 밥알모임 옥영경 2006-04-18 134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