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조회 수 1275 추천 수 0 2006.04.26 12:35:00

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앉은 아이들
- <자유학교 물꼬> 두 돌잔치를 맞으며


바람이 달디 달아서
살아 숨쉬는 것들이라면 수런거리지 않을 수 없는 봄밤이지요.
십수 년을 준비하고
마침내 2004년 삼월삼짇날(양력 4월 21일) 문을 열었던 산골공동체배움터가
두 돌을 맞습니다.

고향을 떠난 이들은 너무 멀어서 못 오고 너무 바빠서 못 와도
아주 먼 곳일지라도 봄이면 어김없이 달려오는 이들이 있습니다.
산수유가 언덕배기에 먼저 닿고
복사꽃 앵두꽃 자두꽃 사과꽃 봄맞이꽃이 뛰어와 숨을 고르지요.
푸른 마늘밭,
못자리를 내려고 가는 쟁기,
어데서 저 많은 것들이 숨어있었던 걸까 싶은 개구리들,
산골 봄날의 그것들만 보고 살아도 큰 배움이겠습니다.
그 밭에서, 들에서, 아이들이 놀며 일하며 커갑니다.
고마울 일입니다.

‘나무를 베면 / 뿌리는 얼마나 캄캄할까’는
어느 시인의 노래를 들었습니다.
아이들 존재 하나 하나에 환한 볕이 들도록 애쓰며 살고 싶습니다.
좋은 일, 즐거운 일에 더 힘을 쏟으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중뿔난 생이 어딨을까요,
나눠주는 마음, 보태주는 손발들이 만든 그늘에서
가난한 산골학교가 이태를 넘길 수 있었지요.
무엇으로도 고마움을 전할 길 없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다시 찾아온 4월 21일,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올라앉은 아이들이 여러분을 모십니다.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운동장가의 소나무와 살구나무 사이를 선물처럼 걸어 들어와
기쁨 함께 누리소서.

(200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294 5월 30일 달날 맑음, 찔레꽃 방학 중 옥영경 2005-06-03 1276
5293 12월 25일,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셋 옥영경 2005-01-02 1276
5292 2011.11. 5.흙날. 젖은 있는 땅 옥영경 2011-11-17 1275
5291 예비중 계자 닫는 날, 2011. 2.27.해날. 비 옥영경 2011-03-07 1275
5290 2009. 7.16.나무날. 어찌 저리 줄기차게 내리누 옥영경 2009-07-30 1275
5289 3월 빈들 여는 날, 2009. 3.20.쇠날. 맑음 / 춘분 옥영경 2009-03-29 1275
5288 119 계자 사흗날, 2007. 7.31.불날. 맑음 옥영경 2007-08-06 1275
5287 116 계자 닫는날, 2007. 1.12.쇠날. 흐려지는 저녁 옥영경 2007-01-16 1275
5286 2005.12.22.나무날.밤새 눈 내린 뒤 맑은 아침 / "너나 잘하세요." 옥영경 2005-12-26 1275
5285 5월 5일 나무날 오후에 비 옥영경 2005-05-08 1275
5284 1월 22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1-25 1275
5283 9월 9일 나무날 먹구름 있으나 맑다고 할 만한 옥영경 2004-09-17 1275
5282 140 계자 사흗날, 2010. 8.10.불날. 이른 새벽 큰비를 시작으로 종일 비 옥영경 2010-08-22 1274
5281 2009. 4.23.나무날. 바람 많은 맑은 날 옥영경 2009-05-07 1274
5280 109 계자 닫는 날, 2006.1.25.물날. 맑음 옥영경 2006-01-31 1274
5279 9월 14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4-09-21 1274
5278 2015. 8.13.나무날. 소나기 지나고 옥영경 2015-09-03 1273
5277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73
5276 2008.10.18.흙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273
5275 2008.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7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