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8.27-30.해-나무날

조회 수 1230 추천 수 0 2006.09.14 09:36:00
2006.8.27-30.해-나무날


가끔은 건물도 사람을 비워야 한다 싶지요.
그도 가끔 쉬고 싶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나름대로 사람을 맞고 들이는 준비를 위한 시간이 있어얄 것 같습니다.
학교를 그렇게 한 차례씩 비우지요.
덕분에 사람도 쉬어줍니다.
뜨겁기도 뜨거웠던 세 차례의 계자와 한 차례의 전수가 끝나고
비로소 학교가 조용합니다.
공동체식구들도 쉬었지요.
젊은 할아버지는 포도밭을 지키고
아이가 태어난 뒤 서울을 오르내렸던 상범샘은
이번참에는 학교 지킴이가 되어 열택샘이 비운 농사부 자리를 맡았습니다.
승찬이랑 큰엄마는 인천 본가 나들이를 가고
하다랑 저는 대포항에 들렀다 설악산으로 갔지요.
대청봉을 가자 모였던 이들이 열 시간의 산오름을 준비하던 새벽,
계자 후유증이 그 먼 곳까지 따라와 이불에 그만 푹 쓰러져서는
결국 일행들과 달리 흔들바위 지나 울산바위만 올랐지요.
산 타는 사람들이야 울산바위 쪽으로 길을 잡는 일이 잘 없으니
언제 또 걸루 가나 하고 되려 즐거이 다녀왔지요.
대청봉이야 어디 가는 것 아니니
나중에 오르지 하며.
“월악산 정상도 이렇게 바위산이에요.”
산깨나 오른 류옥하다는 울산바위 지킴이 아저씨랑 어찌나 수다를 떨던지요.
아, 설악산 아래는
1994년 여름 첫 계자를 열었던 곳이고,
대포항은 계자 전 답사를 왔던 이들이 같이 찾았던 곳이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74 2006.3.7.불날. 맑음 / 대해리 산불 옥영경 2006-03-09 1222
1673 2006.10. 9.달날. 뿌연 하늘에 걸린 해 옥영경 2006-10-11 1222
1672 2006.12.27.물날. 푹 내려간 기온 옥영경 2007-01-01 1222
1671 2008. 2. 7.나무날. 맑음 / 설 옥영경 2008-02-24 1222
1670 132 계자 나흗날, 2009. 8. 5.물날. 보름달 옥영경 2009-08-11 1222
1669 138 계자 나흗날, 2010. 7.28.물날. 비 추적이던 아침 지나고 옥영경 2010-08-06 1222
1668 2010. 8.28.흙날. 비 좀 옥영경 2010-09-07 1222
1667 2011. 3.18.쇠날. 맑음 옥영경 2011-04-02 1222
1666 2011. 6.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22
1665 2011. 7.19.불날. 폭염 옥영경 2011-08-01 1222
1664 2012. 3.12.달날. 꽃샘추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22
1663 2012. 9.21.쇠날. 오후 잠시 흐림 옥영경 2012-10-16 1222
1662 159 계자 사흗날, 2015. 1. 6.불날. 소한, 흐리다 갬 옥영경 2015-01-12 1222
1661 2006.2.4. 흙날. 매서운 추위. 가족들살이 이튿날 옥영경 2006-02-06 1223
1660 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옥영경 2008-03-05 1223
1659 2008. 5.25.해날. 맑음 옥영경 2008-06-02 1223
1658 142 계자 나흗날, 2011. 1. 5.물날. 눈발 날리는 아침 옥영경 2011-01-09 1223
1657 2006.8.31.나무날. 맑음 / 새 식구 옥영경 2006-09-14 1224
1656 2006.10.28.흙날. 맑음 옥영경 2006-10-31 1224
1655 2007. 3. 5. 달날. 눈비, 그리고 지독한 바람 옥영경 2007-03-15 122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