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우렁이 농법이란?

벼농사에서 왕우렁이를 사용하여 농사를 짓는 것이다.



왜 왕우렁이를 사용하는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왕우렁이를 방사하여 잡초와 풀을 제거하는 것이다.



왕우렁이를 논에 넣는 시기는?

이앙후 7일 경이 가장 적합함



왕우렁이를 넣는 양은?

300평당 6kg이 적당함(너무 많아도 적어도 안됨)



왕우렁이 구입 가격은?

6kg에 3만원~4만8천원 정도



왜 왕우렁인가?

공식 도입은 1983년에 식용을 목적으로 들여옴

토종우렁이 보다 크다해서 붙여진 이름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등의 호수나 늪지에 서식 10속 약 120여종이 있음



문제점은 없는가?

열대지방과 일부 아시아 지방에서는 벼의 주요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

일본수산성은 1984년 식물방역법상 농작물 유해동물로 지정

대만에서는 양식이 전면 금지

일본 구주지역 1994년 논면적의 16% 피해

필리핀은 2003년 총면적의 34% 피해

현재 한국은 해남, 강진, 경주 지역에서 월동이 되고 있슴



결론은?

왕우렁이 농법은 먹이습성을 이용하여 논농사에서 농약에 의한

토양과 수질오염 방지 및 소비자들의 불신을 해소하고,

제초제를 대용할 수 있으므로 자연생태계 오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피해를 연구하여아 한다.




큰뫼

2005.03.10 00:00:00
*.155.246.137

아마도 왕우렁이 농법보다는 청둥오리를 이용한 농법이 더 좋을 듯 합니다.
밥알님들은 내용을 좀 숙지하시고 오십시요.

지용아빠

2005.03.11 00:00:00
*.155.246.137

토종 우렁이를 사용한다면! 참으로 궁금한 점입니다.

큰뫼

2005.03.11 00:00:00
*.155.246.137

토종우렁이는 먹이 사슬에서 잡초를 먹어치우질 못한답니다.
번식력도 떨어지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39648
2580 집에 와서 행복해요 [1] 김도형 2004-06-03 1024
2579 물꼬에 갔다온 아들과의 말다툼 [2] 동휘엄마 2004-11-01 1024
2578 축하합니다!! [1] 창욱이네 2004-12-12 1024
2577 소진이 가족 사진 file 소진 2005-01-31 1024
2576 김희정 샘이 아니라, 문희정 샘 [1] 양임순 2005-08-17 1024
2575 으음;; [6] 정무열 2006-07-24 1024
2574 [대안적교육과 종교성] 세미나 안내 미래사회와종교성연구 2006-11-21 1024
2573 제 17년차 평마 여름 공동단식 file [1] 평화의 마을 2007-07-19 1024
2572 다시 글 올려요~ [4] 이세인 2008-01-10 1024
2571 윤준 경이 재우 동휘 현진 유나 지인 [6] 최지윤 2008-05-24 1024
2570 옥쌤! 정애진 2008-08-09 1024
2569 가을걷이에 새까맣게 타시겠지요.. [3] 함형길 2008-10-17 1024
2568 잘 도착했어요 [10] 윤지 2009-12-28 1024
2567 Re..보고잡은 성원 옥영경 2001-12-15 1025
2566 찔레꽃방학 20 file [1] 도형빠 2004-05-31 1025
2565 물꼬 선생님들꼐 천사표|악마표 2004-12-30 1025
2564 백두번째 계자에 수고하신 모든 샘들께 감사드립니다. [1] 영인맘 2005-02-05 1025
2563 23일 서울서 출발하시는 샘 계신지요. [3] 성현빈맘 2006-02-15 1025
2562 저도 자~알 도착했읍니다. [4] 이광식 2006-03-19 1025
2561 2009년 4월 몽당계자 마치고 [3] 류옥하다 2009-04-20 102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