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은 실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물론 변하는 것이 어디 농촌뿐이랴?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으니,,,,,,



어릴적에는 집집마다 한 마리씩 소를 키웠다.

돈을 벌기위한 경제적 이유보다 노동력을 대체하는 일꾼의 역할이었다.

그래서 부엌에는 항상 구수한 소죽 끓이는 냄새가 있었다.

가끔씩 안방에서 부엌으로 통하는 문 때문에 갓난애기들이 소죽솥에 데이기도 했었다.



겨울이 지나면서 소여물이 바닥을 들여내기 시작을 한다.

완전 해동이 되고 4월 말경이 오면서,

우린 영락없이 소여물을 대체할 소풀을 캐러 가곤 했다.

다래끼를 메고 호미를 들면 준비는 끝이다.

이들 저들 바삐 다녀도 그렇게 많지를 않았다.

그 때의 캐던 풀 이름도 이젠 잊어버린 듯 하다.



캔 풀들을 씻어야 소죽을 끓이기 때문에

흐르는 시냇물에 싸리 삼태기를 이용해서 씻었다.

얼마나 손이 시리었을까?

지금 생각해도 씻는 것은 너무 싫었다.



이젠 집집마다 소가 없어졌다.

부엌에 있던 소죽솥도 사라졌다.

부엌 옆에 있던 여물통도 마구도 사라진지 오래다.

소풀(꼴)을 베던 그 재미도,,,,,

소풀을 캐던 일도 이젠 추억 속에 자리할 뿐이다.



아직도 영양군 곳곳에는 소를 키우고 농사꾼으로 부리는 곳이 있다.

언재까지 그 모습이 있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1234
5280 *^^*늘푸른 상담실을 소개합니다. image 서울시 늘푸른여성지 2004-01-15 881
5279 안녕하세요,ㅋ [17] 운지, 2004-01-15 881
5278 홈페이지를 열며 흰머리소년 2004-01-20 881
5277 요즘 성준이의 입담 [2] 성준,빈이 엄마 2004-02-25 881
5276 무사히 도착하였습니다. [1] 김준호 2004-03-14 881
5275 [1] 채은규경네 2004-04-01 881
5274 시체놀이를........... [2] 도형아빠 2004-04-11 881
5273 (밥알모임) 숙제 하시이소... [1] 혜린규민빠 2004-04-15 881
5272 정말 축하드립니다. 메뚜기아낙(호남경) 2004-04-22 881
5271 무거웠던 백리길 가볍게 십리길로 왔습니다!!! [1] 발발이엄마 2004-04-23 881
5270 자유학교 개교 축하드립니다. 김승택 2004-04-24 881
5269 지신밟기(둘) file 도형빠 2004-04-26 881
5268 고사(옥샘) file 도형빠 2004-04-26 881
5267 [답글] 물꼬 이야기는 물꼬 홈페이지에서 물꼬 2004-05-08 881
5266 제 생각의 물꼬를 터 볼까합니다. 최영미 2004-05-18 881
5265 [답글] 안됩니다. 신상범 2004-05-20 881
5264 과천자유학교 여름켐프에 6학년 친구들을 초대합니다 정미라 2006-07-26 881
5263 그냥 왔어요~ [2] 석경이 2008-08-15 881
5262 전현정님, 정병옥님... 물꼬 2008-11-02 881
5261 [답글] 옥샘 전화 좀... eeee 2009-10-09 88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