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17.불날. 맑음

조회 수 1245 추천 수 0 2006.10.18 17:22:00

2006.10.17.불날. 맑음


‘시장’이 오늘 ‘사회’의 중심생각이었지요.
물건 하나가 내 손에 이르기까지 거치는 과정을 살폈습니다.
그 그물망을 다 그리자면 내일도 모레도 끝날 수가 없었겠지요.
국제교역까지 얘기는 넓혀집니다.
농산물시장개방과 농민시위에 대해 이야기가 뻗어갑니다.
“이바구 때바구 강때바구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
먹을 것이 많은 숲을 가진 원숭이가 있었습니다.”
‘원숭이 꽃신’을 들려줍니다.
내 손으로, 내 손으로 신을 삼으리라 결심하던 그 원숭이 말입니다.
“스스로 만들어 써야 한다!”
“정말 필요한 물건이 무엇인지 잘 따질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우리가 이 산골에서 사는 까닭을 다시 생각하게 된 시간이었네요,
물꼬가 하는 생각을 되짚어보는 시간.

국화샘이 전시회로, 단소샘이 공연으로 빠져도
여전히 그 시간을 꾸려집니다.
복습이지요.
마침 우리가락 시간을 당겨와 단소랑 묶어서도 하였습니다.
반길군악과 별달거리를 익히고 있습니다.
한 시간도 넘는 제법 긴 시간을 오직 두들기기만 했지요.
열심히 해서 재밌었지만 허리(호흡을 하느라)가 아팠다는 령이,
장구를 세게 펴서 팔이 아팠다는 동희입니다.
승찬이는 쇠를 치는데 접지가 예전보다 자연스러워져 좋다 하고
하다도 역시 쇠가 잘 돼가는 듯해서 기쁘다지요.

벼를 거두었습니다.
마침맞게 동네에 콤바인이 들어와 있어
그 서슬에 물꼬논 여섯 다랑이도 하였습니다.
기계손이 닿지 않으니 가장자리야 다 낫질을 해야 하는 거라지만
삼거리논 맨 아랫다랑이가 물이 덜 빠져
결국 벼를 다 베어내 옮겨야 해서 늦어졌지요.
이제 말리는 게 일이겠습니다.
하기야 물꼬에는 너른 마당이 있으니...
쉼터논은 콤바인 자루로 49포대가, 삼거리논에선 44포대가 나왔네요.
이러 날이면 대구에 나가있는 농사부의 열택샘이 그립기만 합니다.

아이들은 ‘논밭에서’시간에 논에 나가
벼이삭을 주웠습니다.
그들이 가져다주면 류옥하다랑 전 이삭을 훑었지요.
정민이는 반깁스를 한 하다가 불편하겠다며
볏단의자를 만들어주기도 했습니다,
평소엔 그리 티격태격하면서도.
아이들은 볏집으로 농부기사가 되어 칼싸움도 선보였지요.
“풍요로워진 것 같고, 조용해진 것 같애요.”
벼베기를 끝낸 논을 둘러보며 나현이가 말했습니다.

같이 돌려가며 읽기로 한 바스콘셀로스의 책을 다 읽게 되어
달골에선 이야기마당이 열렸습니다.
“이제 다섯 살인데 많이 느끼고 보고, 어른스러웠어요.
그래서 더 재밌었어요.”
동희입니다.
창욱이는 첨엔 웃기기도 하고, 나중에 장이 조금 남았을 때 감동적이었다네요.
이제 정민이 차례입니다.
“맨 마지막에 제제가 죽었을 때...”
“제제가?”
모두 눈이 동그래졌어요.
“안 죽었어? 안 죽었어요?”
“그래, 그건 뽀르두까지.”
“엉?”
다른 아이들이 다시 마지막 줄거리를 정리해주자
역시 자기 생각도 다시 정리해서 말하였지요.
“뽀르두까가 불쌍했고, 루이스도 죽고, 글로리아누나도 죽고...”
“그건 다 나이 들어서 죽었는데...”
에드문드아저씨와 뽀르두까, 선생님, 인디언 엄마, 글로리아누나...
제제를 키운, 거기 나오는 이들을 입에 두루 올려도 보았습니다.
실업자 아빠를 위해 구두를 닦아 담배를 사주었을 때,
샘이 주신 돈으로 더 가난한 친구와 빵을 나눠먹을 때는
그만 눈물이 났지요.
“샘의 비어있는 꽃병을 위해 남의 정원에서 꽃을 꺾어왔는데...”
이 세상의 것은
모두 하느님의 것이라던 제제의 생각에 대해서도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우리는 원수지간이잖아요.”
뽀르두까가 차를 세우고 태워주려 할 때
그렇게 말하는 제제 때문에 우리 모두 웃기도 했지요.
에드문드아저씨는 얼마나 지혜롭던지요.
철이 든다는 것은 생각이 자라고 자라서 머리와 가슴전체를 돌보는 거라던가요?
그렇다면 우리 어른들은 철이 든 건가요?
아이들과 좋은 책을 다시 읽을 수 있어서 더 좋았지요.
“다음에도 해요.”
자기가 읽어가는 책을 들려주는 것도 좋지만
이렇게 한 책을 같이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계속 하자합니다.
오페라를 들은 뒤에는
좀 쉬다 ‘잠자리에서 듣는 동화’를 들었답니다.
하루만 더하면 이 장편도 끝나겠습니다.

시월 마지막 주, 그러니까 다음 주 물날에 ‘햇발동의 밤’을 열 계획입니다.
기숙사개방의 날쯤 되겠지요.
마을식구들이며 공동체식구들을 불러
달골 마당에서 장작불 피워서 가을걷이 한 것들을 구워도 먹고
집집마다 먹을거리도 챙겨 와서 나눠도 먹자 하였지요.
아이들은 어떤 준비를 할까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74 2012. 2.16.나무날. 다시 한파 옥영경 2012-02-24 1242
1573 2006.2.1.물날.흐림 옥영경 2006-02-02 1243
1572 2007. 6. 1.쇠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43
1571 2007. 6.10.해날. 맑음 옥영경 2007-06-22 1243
1570 2008. 2.12.불날. 맑으나 옥영경 2008-03-07 1243
1569 2008. 4.20.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8-05-11 1243
1568 4월 12일 불날 물먹은 하늘 옥영경 2005-04-17 1244
1567 6월 20일 달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5-06-23 1244
1566 2007. 4.26.나무날. 봄날 같은 봄날 옥영경 2007-05-14 1244
1565 2011. 6.15.물날. 맑음 / 보식 3일째 옥영경 2011-07-02 1244
1564 4월 21일 상설학교 첫돌잔치에 모십니다 옥영경 2005-04-24 1245
1563 5월 20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5-22 1245
1562 2005.12.3.흙날.저녁답부터 밤새 내리는 눈 / 연수 하나를 마치고 옥영경 2005-12-06 1245
1561 2006.3.17.쇠날. 맑음 / 으아악, 쇠날! 옥영경 2006-03-23 1245
1560 2007.11. 3.흙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07-11-13 1245
1559 2008. 3.2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4-06 1245
1558 2008. 3.30.해날. 비 옥영경 2008-04-12 1245
1557 2008. 4.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5-04 1245
1556 2008. 5.3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9 1245
1555 2008. 8.27.물날. 맑음 옥영경 2008-09-15 124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