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를 읽고... - 박진숙

조회 수 883 추천 수 0 2006.04.26 16:09:00
* 일련의 민들레 일에 대해서 신입밥알님들이 각자 생각을 정리해서 밥알게시판에 올린 글입니다. 동의를 얻어 드나나나 게시판에 올립니다. - 자유학교 물꼬

민들레를 읽고..


올해 영동 대해리에 귀농을 해서 8살 종훈이를 물꼬에 보내고 있는 학부모 입니다.
귀농을 결심하고 귀종지를 찾는 과정에서 물꼬를 알게 되었고 아이 아빠는 귀농을 결심하고 하던일을 다 정리한 상태였기 때문에 학교와 학부모의 갈등으로 아이들이 학교를 그만두기 전부터 물꼬에서 살다시피 하였습니다.
저와 아이도 시간만 나면 물꼬로 내려 갔지요.
아이도 본능적으로 자기가 있어야 할 자리를 찾은듯 한없이 자유로와 보였고 아이 스스로도 자기를 물꼬 학교에 가고 싶다고 마음 먹었지요.
남편은 물꼬에서 지내며 아이들이 그만두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그럼에도 흔들림 없이 공동체 식구들이 하루하루 살아내 가는 모습을 보며 꼭 도인처럼 보인다는 말을 여러번 했습니다.
저도 물꼬를 여러차례 방문하면서 느꼈던 점은 어떻게 저렇게 살 수 있을까? 무슨 목적으로?
아이들을 향한 저 무조건적인 사랑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걸까? 과연 나라면 저렇게 살 수 있을까?
제 자신에게 묻고 또 물었지요.
솔직히 머리로는 이해가 됐지만 마음으로 이해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아이의 입학 과정을 거치면서 제 자신을 깊이 들여다 보는 시간이 되었고 아이를 물꼬 학교에 보내면 힘은 들겠지만 내게 있어서도 의미 있는 삶이 되겠다. 학교에 함께 할 수 있는 일들을 깊이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떠난 학부모들의 기준으로 "학교에 할 만큼 했다." 하셨는데 아이들을 가르치고 건사하는 나날의 삶을 꾸리는데 1단에 하루, 이틀 내려와 힘을 보내는 것은 구조상의 한계가 있지 않았나 생각 합니다.
산골 공동체 배움터 자유학교 물꼬를 만들어 가는데 공동체 식구들의 무조건적인 희생을 요구 하면서 "왜 어른들은 민주적 관계 속에서 학교와 이야기를 할 수 없는지 깨닫게 되었다."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한축이 붕괴된 학교가 제대로 설 수 없겠다."하셨는데 그 한축을 메꿔 가며 나날의 삶을 살아 가려합니다.
민들레를 통해 공개적으로 "버림 받은 참혹한 심정 입니다."감정을 표현 했는데 꼭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는지 저 또한 새로 학부모된 입장으로써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는데 애쓰려 합니다.
지금 조릿대 집을 잠시 빌려 쓰고 있는데 떠나신 학부모들의 손길이 느껴질때마다 너무 고맙고 가슴이 아려 옵니다.
떠나신 학부모님들의 사랑을 바탕으로 열심히 살아가겠습니다.

(3.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32775
3218 오랜만이에요- [2] 김소희 2006-05-17 934
3217 유스크리에이터2006 마감이 일주일 남았습니다! image 다음세대재단 2006-05-16 1144
3216 잘 도착했습니다. [1] 장선진 2006-05-15 881
3215 경기도국악당 어린이국악인형극 부리부리 혹부리 image 경기도국악당 2006-05-15 1157
3214 사랑하는 아들아 F학점도 좋다 그러나 짱구 2006-05-15 911
3213 ‘I-School(아이학교)’ 입학생 모집 역삼청소년수련관 2006-05-13 917
3212 나현이예요. [4] 김나현 2006-05-05 959
3211 5일 어린이날 방문해도 될는지요? 세인.영인맘(황미숙) 2006-05-01 929
3210 2006 청소년 미디어 창작지원 프로젝트 유스 크리에이터를 모집합니다. image 다음세대재단 2006-04-28 1217
3209 물꼬 아이들 [1] 홍사숙 2006-04-27 1141
3208 물꼬 두 돌잔치 풍경들 image [2] 해달뫼 2006-04-27 1563
3207 산 고집쟁이 4인전에 초대합니다 image 산어린이학교 2006-04-26 943
3206 물꼬 3년차 부모로서 일련의 갈등을 바라보며 - 김상철 신상범 2006-04-26 1251
3205 신입밥알로 바라보기 - 전승경 신상범 2006-04-26 884
3204 신입밥알로서 정리 - 김호성 신상범 2006-04-26 913
3203 갈등의 치료약 - 이광식 [1] 신상범 2006-04-26 954
» 민들레를 읽고... - 박진숙 신상범 2006-04-26 883
3201 민들레 건에 대한 입장 - 곽보원 신상범 2006-04-26 1011
3200 민들레 건에 대한 신입밥알의 생각 - 정운오 신상범 2006-04-26 1013
3199 신입밥알로서 - 홍정희 신상범 2006-04-26 88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