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3.흙날. 맑음

조회 수 1164 추천 수 0 2007.02.08 11:48:00

2007. 2. 3.흙날. 맑음


“전투는 빙산의 일각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행하는 것과 그렇게 행해야 하는지를 깨닫는 것이다.”
체 게바라를 추억합니다.
사람은 잊기 쉬운 존재여서
첫 마음을 자주 놓칩니다.
비난할 건 아니지요.
하물며 고승도 절집을 지키며 날마다 수행하는데,
아무렴 우리 같은 범부들이야 오죽 할라구요.
“공동체의 목표에 혼돈이 있으면 내부적으로 불분명한 음조를 띠게 되고,
자신들이 왜 공동체에 있는지도 모르는
혼란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끌어들이게 된다.”
한 공동체 지침서에서 읽은 구절입니다.
사람들 간의 동기들이 부딪히면 공동체의 에너지가 분산될 밖에요.
우리는 왜 공동체인가,
우리는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를 명확하게 말하고
날마다의 삶 속에서 다시 돌아보고 다지는 시간을
새학년도엔 일상 안에서 잘 견지해내려 합니다.
그러고 보니 아침마다 해오던 명상도 요가도
2006학년도엔 어른모임이 없었습니다.
아쉬울 일이지요.
해가 진 겨울 저녁, 그렇게 시작된 긴긴밤을
읽고 사색하고 고요히 자신을 바라본 이는 또 얼마나 되었을까요.
이 아름다운 명상의 조건을 갖춘 산골에서 말입니다.
우리 생애에 그럴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된다고...

공동체식구모임이 있었습니다.
우리의 현재 상황을 돌아보고,
내년 움직임을 그려보고,
새로 들어오는 아이들과 공동체식구들 맞이에 대해,
그리고 2월 움직임을 잡아보았지요.

덤프트럭 몇 대는 지나는 대해리의 겨울 바람입니다.
2월이 젤 맵지 싶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954 2005.11.30.물날.봄날 같은 볕 / 아궁이 앞에서 옥영경 2005-12-01 1165
1953 2006.2.5.해날. 맑음. 들살이 닫는 날 옥영경 2006-02-06 1165
1952 2006.3.16.나무날. 눈 옥영경 2006-03-17 1165
1951 2006.10.29.해날. 맑음 옥영경 2006-10-31 1165
» 2007. 2. 3.흙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64
1949 2007. 3.14.물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165
1948 2007. 9.2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165
1947 135 계자 나흗날, 2010. 1. 6.물날. 맑음 옥영경 2010-01-11 1165
1946 2011. 8.13.흙날. 맑음 / 14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1-08-30 1165
1945 150 계자 사흗날, 2012. 1.10.불날. 갬 옥영경 2012-01-18 1165
1944 2월 16일 물날, 새 홈페이지 막바지 논의 옥영경 2005-02-26 1166
1943 2007. 3. 7.물날. 마른 눈발 날리는 아침 옥영경 2007-03-21 1166
1942 2008. 9.10.물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166
1941 2008. 9.28.해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166
1940 2009. 2.24.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9-03-11 1166
1939 4월 몽당계자 이튿날, 2010. 4.24.흙날. 맑음 옥영경 2010-05-10 1166
1938 2010.12.27.달날. 잠시 풀리는가 싶더니 오후 다시 언다 옥영경 2011-01-03 1166
1937 2006.3.28.불날. 눈발 옥영경 2006-03-31 1167
1936 2006.4.24.달날. 황사 옥영경 2006-05-09 1167
1935 2006. 9.25.달날. 참 좋은 가을볕 옥영경 2006-09-27 116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