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3.흙날. 맑음

조회 수 1165 추천 수 0 2007.02.08 11:48:00

2007. 2. 3.흙날. 맑음


“전투는 빙산의 일각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행하는 것과 그렇게 행해야 하는지를 깨닫는 것이다.”
체 게바라를 추억합니다.
사람은 잊기 쉬운 존재여서
첫 마음을 자주 놓칩니다.
비난할 건 아니지요.
하물며 고승도 절집을 지키며 날마다 수행하는데,
아무렴 우리 같은 범부들이야 오죽 할라구요.
“공동체의 목표에 혼돈이 있으면 내부적으로 불분명한 음조를 띠게 되고,
자신들이 왜 공동체에 있는지도 모르는
혼란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끌어들이게 된다.”
한 공동체 지침서에서 읽은 구절입니다.
사람들 간의 동기들이 부딪히면 공동체의 에너지가 분산될 밖에요.
우리는 왜 공동체인가,
우리는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를 명확하게 말하고
날마다의 삶 속에서 다시 돌아보고 다지는 시간을
새학년도엔 일상 안에서 잘 견지해내려 합니다.
그러고 보니 아침마다 해오던 명상도 요가도
2006학년도엔 어른모임이 없었습니다.
아쉬울 일이지요.
해가 진 겨울 저녁, 그렇게 시작된 긴긴밤을
읽고 사색하고 고요히 자신을 바라본 이는 또 얼마나 되었을까요.
이 아름다운 명상의 조건을 갖춘 산골에서 말입니다.
우리 생애에 그럴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된다고...

공동체식구모임이 있었습니다.
우리의 현재 상황을 돌아보고,
내년 움직임을 그려보고,
새로 들어오는 아이들과 공동체식구들 맞이에 대해,
그리고 2월 움직임을 잡아보았지요.

덤프트럭 몇 대는 지나는 대해리의 겨울 바람입니다.
2월이 젤 맵지 싶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154 2011. 7. 7.나무날. 아침 비 옥영경 2011-07-18 1291
1153 2011.11.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1-11-23 1291
1152 12월 24일 나무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05-01-02 1292
1151 9월 5일 달날 맑음, 마을아 잘 있었느냐 옥영경 2005-09-14 1292
1150 지금, 당장, 평화롭기, 정작 나도 자주 잊어버리지만! (2005.10) 옥영경 2005-12-28 1292
1149 2007. 9.13.나무날. 맑음 / 남도에서 온 택배 옥영경 2007-09-25 1292
1148 2009. 2.17.불날. 맑음 옥영경 2009-03-07 1292
1147 2011. 6.12.해날. 황사인가 / 단식 7일째 옥영경 2011-06-18 1292
1146 146 계자 닫는 날, 2011. 8.12.쇠날. 해, 반갑다, 그리고 다시 내리는 가랑비 옥영경 2011-08-29 1292
1145 4월 2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4-07 1293
1144 2007. 4.25.물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7-05-14 1293
1143 2007. 5. 9.물날. 먹구름 좀, 그리고 비 옥영경 2007-05-21 1293
1142 2007. 6. 2.흙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93
1141 2007.10. 6.흙날. 찌푸둥한 하늘 옥영경 2007-10-17 1293
1140 2011. 6.29.물날. 볕 쨍쨍 옥영경 2011-07-11 1293
1139 10월 15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294
1138 108 계자 엿새째, 2006.1.7.흙날.저 청한 하늘 옥영경 2006-01-08 1294
1137 117 계자 사흗날, 2007. 1.24.물날. 맑음 2007-01-27 1294
1136 2007. 9.18.불날. 잔 비 옥영경 2007-10-01 1294
1135 2007.10. 4.나무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07-10-13 129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