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조회 수 1194 추천 수 0 2007.02.08 11:50:00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긴요한 차례로 공동체 일을 잡는다면
젊은 할아버지의 짝을 찾는 일이 첫째이겠습니다.
영동 읍내에 말을 넣어 놓은 곳이 있는데,
오늘 사진을 좀 보자고 연락이 왔데요.
“사진이 뭐 사람을 보여주나?”
그래도 우선은 그게 또 인사일 수 있겠습니다.
올 해는 뭔가 잘 풀릴 것만 같습니다.

공동체로 들어오려는 한 가정 면담이 있었습니다.
몇 해를 정성을 다하고 있는 가정입니다.
의리로라도 이제는 들어오십사 하겠으나
공동체 식구들의 의견이 좀 달랐지요.
우리는 왜 그대를 반기지 않는가에서부터 얘기를 시작했고,
한 편 긍정하는 부분은 무엇 때문이지를 들려주었습니다.
그렇지만 처음엔 그저 들어오는 것에 집중하게 되므로
어떤 얘기도 잘 안들리리란 걸 알지요.
그래서 올 해는
‘공동체에 들어오려는 이에게’라는 문건도 마련하여 드렸답니다.
말이 아닌지라 바로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읽고 또 읽으면 낫겠지요.
같이 출발해도 다 다르며
먼저 뛰기 시작했다고 먼저 닿는 게 아니더라,
나중에 가지만 우리 공동체에서 가장 공동체적 삶을 살지 어찌 아는가,
기회는 주어야 하지 않을까,
식구들의 생각이 그러하였습니다.

대해리가 들썩였네요.
한 해를 예서 살아본 집이 서울로 다시 이사를 갑니다.
큰 화물트럭에서부터 트럭이 세 대였습니다.
“그래, 웬 이삿짐이 이리 많아, 시골 살림이.”
앞집 할머니, 이모님(대해리를 들어오던 97년에 처음 맺은 연을 그리 부르게 됨),
착한 할아버지(우리식으로 이래 부르지요) 할머니가 놀라라셨지요.
이삿짐이란 게 부려놓으면 너절하기 매한가지고
다 어느 구석에 들어있던 것일까 나오고 또 나오기 마련이지요.
그래도 대해리에서 좋은 연을 잘 맺어 짐꾼도 많으니
반나절에 짐 싸고 어둑해지기 전 길을 나섰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534 2007. 1.15.달날. 맑음 옥영경 2007-01-19 1166
5533 2007. 1.16-18.불-나무날. 맑았던 날들 옥영경 2007-01-20 1324
5532 2007. 1.19-21.쇠-해날. 청아한 하늘 / 너름새 겨울 전수 옥영경 2007-01-22 1437
5531 2007. 1.21.해날. 맑음 / 11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7-01-23 1421
5530 117 계자 여는 날, 2007. 1.22.달날. 흐리더니 맑아지다 옥영경 2007-01-24 1413
5529 117 계자 이튿날, 2007. 1.23.불날. 맑기가 시원찮은 옥영경 2007-01-25 1324
5528 117 계자 사흗날, 2007. 1.24.물날. 맑음 2007-01-27 1297
5527 117 계자 나흗날, 2007. 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1-30 1375
5526 117 계자 닷샛날, 2007. 1.26.나무날. 흐리다 눈 / 노박산 옥영경 2007-02-03 1243
5525 117 계자 닫는 날, 2008. 1. 27.흙날. 눈발 옥영경 2007-02-03 1375
5524 2007. 1.2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03 1192
5523 2007. 1.30.불날. 거친 저녁 바람 / 왜냐하면... 옥영경 2007-02-03 1175
5522 습관이란 너무나 무서운 것이어서... 옥영경 2007-02-08 1114
5521 2007. 1.31.물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00
5520 2007. 2.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63
5519 2007. 2. 2.쇠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62
5518 2007. 2. 3.흙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67
5517 2007. 2. 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97
»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옥영경 2007-02-08 1194
5515 2007. 2. 6.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7-02-08 125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