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6.불날. 시원찮게 맑은

조회 수 1277 추천 수 0 2007.02.08 11:50:00

2007. 2. 6.불날. 시원찮게 맑은


부엌 아궁이 곁에
아이가 신는 겨울 슬리퍼가 물기를 잔뜩 머금고 세워져 있었습니다.
어데서 또 젖었겠구나 생각했지요.
“엄마, 나 신발 빨았다!”
“그래?”
“너무 더러워서...”
“뭐로?”
“저 솔로.”
때가 되니 다 합니다.
저녁마다 양말을 빨아 불 때는 솥단지 위에도 잘 펼쳐놓지요.

시카고에 있는 아이 아비랑 통화를 하고 있었는데요,
단식을 하면 사흘째가 힘이 드는데 마침 그날인데다
사택 전화 상태가 영 좋지 않아
몇 차례나 반문하는 그를 마뜩잖아했지요.
“아빠가 좀 그렇잖아.”
등을 돌리고 책상에서 뭘 하던 아이가
뒤를 돌아보며 제게 귓속말 그리 했지요.
그런데 돌아서서 제(자기) 할 일을 하며 그리 중얼거립니다.
“나는 좋은 마누라 얻어야지.”
이눔의 자슥, 말하는 본새 좀 보소...
안 무서운 마누라를 얻겠다?

아이가 밖에서 불렀습니다.
“오늘 뭘 발견했는지 알아?”
쾌종시계라고 흔히 부르기도 하는 커다란 벽시계를 뜯어낸 밑부분인데
작은 책장으로든 장식장으로든 쓸 수 있겠더라고
한 번 볼테냐고 들고 왔습니다.
아주 그럴 듯했지요.
“그런데, 앞에 이 턱은 잘라야겠다.”
“제가 톱질 할 게요.”
지금은 다른 일로 바빠 나중에 한다고 밀쳐두고는
또 오데로 사라졌지요.
저녁답에 부엌에서 인기척이 들려 내다보니
그 물건에 걸레질을 하고 있었습니다.
“어, 뗐네.”
“망치로 몇 번 두들기니 되데요.”
그리고 제(자기) 방에 들여놓습디다.

한 해 가장 한가로운 2월이나 되니
내 아이를 들여다보는 일도 잦습니다.
고맙지요.
풍요로운 그의 세계가 기쁨입니다.
어떤 부모가 그렇지 않을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318 2005.12.23.쇠날.하염없이 눈 / 매듭잔치 옥영경 2005-12-26 1281
5317 5월 30일 달날 맑음, 찔레꽃 방학 중 옥영경 2005-06-03 1281
5316 2012. 2. 5.해날. 흐리다 맑다 / '발해 1300호' 14주기 추모제 옥영경 2012-02-17 1280
5315 2009. 1.20.불날. 봄날 같은 볕 옥영경 2009-01-31 1280
5314 2008.10. 4.흙날. 꾸물럭 옥영경 2008-10-19 1280
5313 2008. 5.20.불날. 맑음 옥영경 2008-05-31 1280
5312 2007. 9.21.쇠날. 갬 옥영경 2007-10-05 1280
5311 2006.11. 6.달날. 비 옥영경 2006-11-07 1280
5310 2006.10.10.불날. 맑음 옥영경 2006-10-12 1280
5309 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옥영경 2006-04-26 1280
5308 6월 11-2일, 밥알 모임 옥영경 2005-06-17 1280
5307 11월 10일 물날 흐림 옥영경 2004-11-22 1280
5306 2011. 4.19.불날. 갬 옥영경 2011-04-28 1279
5305 2011. 4.18.달날. 비 옥영경 2011-04-28 1279
5304 2009.11.28.흙날. 날 푹하다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9-12-06 1279
5303 2009. 7.16.나무날. 어찌 저리 줄기차게 내리누 옥영경 2009-07-30 1279
5302 2007. 9.28.쇠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279
5301 2007. 5.29.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79
5300 2005.12.30.쇠날.맑음 / 우리들의 어머니 옥영경 2006-01-02 1279
5299 3월 11일 쇠날 살짜기 오는 비 옥영경 2005-03-13 1279
XE Login

OpenID Login